
4일 제주한라대학교 한라홀에서 개최된 민족화해협력국민협의회의 제주포럼에서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 감귤의 북한 보내기 사업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원희룡 지사는 기조연설을 통해 제주도민 방북과 감귤보내기를 거론하면 제주만이 갖고 있는 대북 교류협력의 노하우라고 강조했다.
원 지사는 “남북한 간 교류 협력은 한반도만의 미래에 그치지 않고 동북아의 평화, 그리고 세계 평화를 이루는 교과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세계 평화의 섬 제주는 북한과의 교류협력 사업에 대해 진지하게 추진을 검토할 것”이라며 “북한 감귤 보내기 운동의 재개를 위한 타당성을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검토가 마무리되는 대로 감귤 보내기 운동의 부활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을 발표하겠다”며 “이 과제는 정부 차원의 배려와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북한 감귤 보내기 사업 재개는 원 지사가 강한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도지사 취임 2주 만인 지난 7월 14일 중앙부처 방문해 류길재 통일부 장관과 만나 제주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남북교류협력사업 발상지로 상징적인 지역임을 설명하고 장기간 중단된 대북 지원 사업이 재개될 수 있도록 전향적인 조치를 주문한 바 있다.
원 지사는 당시 제주가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감안, 감귤 등 대규모 물류 수송에 소요되는 경비에 대한 정부의 남북협력기금 지원도 요청했고 류길재 장관도 “인도적인 차원에서 감귤 보내기 등을 우선 검토해보겠다”고 답했다.
제주도 차원에서도 북한 감귤 보내기 사업에 대해 관련 부서간 내부적인 논의가 상당부분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차원의 정무적 판단과 남북협력기금 지원이 결정만 되면 곧바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감귤 수확 등 시기적으로 내년 1월까지만 정부와 합의가 된다면 사업을 진행 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며 “남북관계 화해 분위기 조성을 위한 정부의 정무적인 판단이 우선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 감귤 북한 보내기 사업은 남북협력제주도민운동본부 주관으로 1998년 시작됐고, 2009년까지 4만8322t이 지원됐다. [제주매일 이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