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연근해 바다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수자원보호 및 불법어업 근절을 위한 토론회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바당지킴이(제주도 어업수호대) 주최, 수산업경영인제주도연합회·제주도어선주협회·제주도기자협회 주관으로 3일 농어업회관에서 어업인과 관계기관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 바당을 위한 대토론회’가 개최됐다.
제주도기자협회 고대로 회장이 진행을 맡아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서 권용철 동해어업관리단 제주어업관리소장은 '제주근해 중국어선 불법어업 단속현황과 향후 단속계획'을 발표했다.
권 소장은 중국어선의 불법조업과 관련해 최근 허가어선의 집단 폭력적 행위가 증가하고 있다며 불법어업의 재범 발생빈도도 증가하고 있다고 심각성 설명했다.
이어 향후 지도단속 계획으로 한·중 단속기관간 잠정조치수역 내 공동순시를 강화하고, 한·중 민간단체 의한 공동 어장청소 및 교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어획물운반선의 상대국 EEZ 입·출역시 지정된 포인트 통과를 의무화하고 불법어업 담보금 납부창구를 일원화하겠다고 말했다.
권 소장은 ▲어업관리부 신설 및 산화 3개 권역 어업관리단 개편 추진 ▲수륙양용항공기, 특수헬기 도입으로 중국어선 폭력 집단행동 제압 추진 ▲국가어업지도선 규모 현 34척에서 50억 증척 등 해수부의 중장기 계획을 설명했다.
홍석희 제주도어선주협회장은 어선어업 종사자들이 고령화가 심각하다며 어선원 수급의 문제가 발생해 출어를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종사자 고령화와 인건비 상승 등으로 어선자동화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부와 제주도의 보다 많은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 앞서 손재한 전 해양수산부 차관의 ‘한반도에서 차지하는 제주 연근해 수역의 중요성’에 대한 강연이 진행됐다.
[제주매일 김승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