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해외제품을 구입하는 추세가 확대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중국 수출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제주발전연구원 한승철 책임연구원은 2일 정책이슈브리프 ‘중국의 수입시장과 통관·E-무역 동향에 따른 대응방안’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소비재 시장은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중국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해외제품을 구입하는 추세이므로 온라인을 통한 E-무역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 연구원은 “중국의 소비재 수입확대에 따라 제주의 기업들도 경쟁이 치열한 우리나라 내수시장에만 머물지 말고, 중국 수출을 통한 판로개척이 필요하다”며 “기능성식품과 화장품의 경우 중국의 위생허가를 받는데 6개월~1년이 소요되므로 ‘중국 E-무역 시범지구’ 보세 사이트몰에 입점하는 식의 온라인 수출을 기본으로 하고 위생허가를 받은 후 점차 일반무역을 병행해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터넷 쇼핑 전성시대를 맞고 있는 중국의 온라인쇼핑 네티즌 수는 2014년 6월 현재 4억 354만명에 달하고, 소매시장에서 인터넷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3년말 8%에서 2014년 6월 14.5%로 증가하고 있다.
한 연구원은 이 같은 점을 반영해 “한·중FTA 타결에 따른 기회요인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국수출이 가능한 제주산 품목 및 업체 수요 조사, 통관규제 강화 및 E-무역 실시에 대응 등 중국 소비재 시장을 겨냥한 수출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제주업체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등은 중국의 위생허가를 얻어야 하는 제품이 많기 때문에 우선 E-무역을 기본으로 하여 일반무역으로 넓혀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매일 김승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