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항목 중 마을버스 도입 제외 15개 일치
제주특별자치도가 2006년과 2012년 제주도지방대중교통계획을 수립해 놓고 내년에 다시 수억원을 들여 ‘대중교통체계 개편방안 연구용역’을 추진키로 하면서 ‘중복 용역’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최근 택지개발과 인구증가에 따른 정주여건 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대중교통 통행 조사, 대중교통 관련 통행 패턴 및 수요 조사 등을 벌여 제주에 맞는 ‘대중교통체계 개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이에 따라 다음 달 도내 대중교통 업계 등과 기본 협약을 체결하고, 사업비 6억원을 투입, 내년 2월 ‘대중교통체계 개편방안 연구용역’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후 용역결과에 따른 문제점 분석 및 보완 대책을 수립, 2016년 8월 교통체계 개편사업을 본격 시행할 방침이다.
제주도가 제시한 대중교통체계 개편 추진 계획(안)은 ▲지선 및 간선·순환형 버스노선체계 개편 ▲급행 노선제 신설 운영 ▲마을버스 도입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제 도입 ▲환승 정류장(센터, 주차장) 설치 ▲대중교통보조금 제도 개편 ▲시내·외 버스요금 체계 개선 ▲운수종사자 근로여건 개선 ▲제주형 교통가드 도입 ▲공영버스 지방공기업 설립 검토 ▲대중교통품질 평가제 도입 ▲수요자 응답형 Call Bus운영 ▲다양한 관광객 맞춤형 대중교통 도입 ▲전기버스 등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버스정류장 시설 개선 ▲버스종합정보센터 운영 등16개 항목 이다.
그러나 16개 항목 대부분이 제주도가 이미 실시한 용역에서 내용이어서 ‘대중교통체계 개편방안 연구용역’ 추진에 따른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제주도는 앞서 대중교통운영자 경영 및 서비스 평가보고서(2006년·용역비 3500만원)와 제주특별자치도 지방대중교통계획(2007년·용역비 1억원), 제2차 제주특별차지도 지방대중교통계획(2012년·용역비 6900만원) 등을 통해 제주 실정에 맞는 대중교통 체제 개편을 위한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특히 2012년 용역의 경우 제주도가 이번에 제시한 16개 항목 중 ‘마을버스 도입’을 제외한 15개 항목과 일치해 ‘중복 용역’이라는 지적에 힘이 실리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앞선 용역은 대중교통의 정책 방향만 제시돼 실행에 옮기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이번 용역은 보다 세밀한 대안을 제시, 대중교통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보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제주매일 박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