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분뇨 공공처리 제고대책 절실
축산분뇨 공공처리 제고대책 절실
  • 제주매일
  • 승인 2014.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정제주 관광지 분위기를 망치는 ‘주범’ 가운데 하나가 축산분뇨다. 그런데 제주시 지역 축산분뇨 공공처리시설 이용률이 저조하다. 공공처리시설(정화 후 방류) 1개소와 공동자원화시설(분뇨 활용 퇴·액비) 4개소가 운영, 1일 가축분뇨 처리능력은 800t이나 처리량(지난해 말 기준)은 공공처리 143t·자원화 140t 등 284t에 그쳤다.
처리능력 대비 35.5%, 제주시내 1일 가축분뇨 발생량 2050t의 13.9%에 불과한 실적이다.

이유는 비용이라고 한다. 공동자원화시설 등의 가축분뇨 1t당 운반·처리비는 1만6000원으로 재활용업체에 비해 2000~4000원 비싸다. 대부분 개별농가와 사설 재활용업체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어디서 처리하든 ‘완벽’하면 되지만 그렇지 못해서 문제다. 재활용업체와 농가의 경우 시설이 상대적으로 열악, 덜 부숙된 액비를 살포하는 경우가 없지 않다.

대안은 공공처리시설 비용을 낮춰 이용률 높이기다. 적지 않은 세금이 투입된 공공처리시설 가동률이 낮다는 것은 세금을 낭비하는 일이다. 아울러 부숙된 액비가 살포돼 불쾌한 냄새를 풍기고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켜 환경의 문제이기도 하다.

가격을 낮추든 인센티브를 도입하든 대책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제주시가 2018년까지 공동자원화시설을 10개소로 확충해 가축분뇨 광역처리율을 85%까지 확대할 계획도 ‘가격대책’ 없이는 힘들 일임을 강조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