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갈등으로 학내분쟁이 끊이지 않았던 제주한라대학이 이번에는 특정학과의 4년제 학위과정 운영과 관련, 같은 사립대학인 제주국제대학과 제주관광대학의 교수들이 이의를 제기함으로써 또 다른 쟁점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제주국제대학 교수협의회와 제주관광대학 교수 일동은 17일 성명을 발표 하고 한라대학 특수 학과의 4년제 학위과정 운영과 관련한 자신들의 입장을 표명했다.
이들 교수들은 한라대학 마축자원학과(馬畜資源學科)와 마사학과(馬事學科)를 4년제 학위과정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인정한 ‘제주도 대학설립 심사위원회’의 회의록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한라대학이 2개학과 4년제 운영을 계기로 다른 6개학과까지 4년제로 학생들을 모집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뿐이 아니다. 이들은 “고등교육법은 대학의 학생 정원 증원이나 4년제 학과 증설의 경우 4대 지표인 교지, 교사, 교원, 수익용 기본재산 등을 일정 부분 이상 확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한라대의 경우 이에 대한 확인 결과를 밝히라”고 촉구하고 있다.
한라대학 문제를 놓고 같은 사립대학 두 곳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주도 당국은 어떤 형태로든 합당한 해법을 내 놓아야 한다. 한라대학의 2014학년도 보건의료계열 정원초과 모집에 대한 감사위원회 감사 결과를 비롯, 4년제 학과 증설의 관련 규정 합치 여부, 학령 인구 감소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의 입학 정원증원의 적절성 여부 등은 제주도가 밝혀 줘야 할 사항들이다.
그렇잖아도 국제대·관광대 교수들은 한라대의 논란과 관련, 제주도에 대해 “특혜에 가까운 업무상 배임”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지 아니한가.
제주도의 적절한 해결책 마련과 함께 당사자인 한라대학도 현재의 내우외환에서 조속히 벗어 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내우외환이 오래 끌면 결과가 좋지 않다는 것이 세상 이치다. 제주도와 한라대학이 지혜를 모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