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감은 ‘쓴 맛을 봤던’ 2007년산 유통 상황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고조되고 있다. 당시 강제착색 문제가 이슈로 부각된데다 저급품 출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해 11월 평균 경락가가 7458원에 그쳤을 뿐만 아니라 이후 8000원선을 한번도 회복하지 못했다.
이래선 안된다. 대책이 필요하다. 그런데 대책의 일환으로 마련된 비상품 감귤 출하근절 자정결의대회마저 ‘절반의 외침’으로 전락, 실효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도내 감귤의 절반 이상을 유통하는 영농법인과 상인들이 빠진 자정 노력인 탓이다.
도내 농·감협 소속 감귤 작목반장 등 150여명은 지난달 31일 서귀포농협 감귤거점APC에서 비상품감귤 출하근절을 위한 자정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농가와 작목반이 비상품과 저급품 감귤 출하를 차단, 고품질감귤 출하에 앞장설 것 등을 다짐했다.
문제는 이들이 결의를 100% 지키더라도 저급품 근절과 물량조절이 가능할 지 의문부호라는 점이다. 모두를 동참시킬 제도적 장치는 없는 지 안타까울 따름이다. 속절없이 떨어지는 감귤가격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크다. 그래도 힘이 있는 곳은 행정이다. 가능한 모든 행정력을 동원, 제주감귤 가격 지키기에 나설 것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