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그만 섬에서 아무리 관광객이 1000만명이 넘었다지만 축제가 많아도 너무 많다. 아이들 체험거리를 찾아서 축제장마다 찾아다니는 것도 숙제하듯이 가지만 솔직히 매주여서 식상해져가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제주의 축제는 특징이 없다. 비슷비슷한 아이템에다 여러 축제 일정도 겹친다.
지역문화축제는 우선 주민들과 역사성과 전통성 등이 고루 섞여져서 어울림이 있어야 하는데, 그 지역의 뿌리가 있어야함에도 아무런 의미 없는 축제로 떠돌이 타령패들이나 엿장수, 이동 포장마차들이 난전을 이루는데 불과하다. 아니면 유명가수를 모셔다가 인원동원으로 명분 쌓기나 하고 예산이나 낭비하는 건 아닌지 이젠 살피고 따져야할 시점이 아닐까.
축제가 있는 곳에 사람이 있고 사람이 있는 곳엔 축제가 있어야 한다는 말, 맞다. 그리고 축제마다 차별성이 분명히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방어 축제라면 우리지역에 방어가 많이 잡히니 축하해 달라, 한 번 맛보고 사 달라, 언제나 싱싱한 방어를 제공해 드리겠다 등등 대략 이런 뜻이 있는 방어축제고 잔치여야 되는 거 아닌가.
우리 제주는 연간 관광객이 1000만명이나 오는 세계적인 관광 휴양도시다. 그렇다면 제주에서만 즐길 수 있는 축제를 개발하고 키워야 한다. 제주에 와야만 즐길 수 있는 축제,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축제, 도민들이 함께 만들며 즐거워하는 축제, 그래야 그걸 보기 위해서 사람들이 몰려올 것 아닌가. 똑같은 아이템으로 버무려진 축제라면 바꿔야 한다.
머리를 모아보자. 많은 관람객이 몰렸으나 결국 ‘숫자 놀음’일 뿐 축제의 문화적 가치는 떨어지고 있다는 걸 인식하자. 해녀축제에 해녀가 없고, 탐라문화제에 탐라가 없다는 평가의 축제는 그만 하자. 그런 축제에 예산을 투입하는 건 낭비다. 아까운 예산낭비에 지역주민들은 화가 난다. 그런 축제에 들러리하기도 싫어한다.
재미있는 축제란 뭘까? 내가 출연하거나 내 아이, 내 이웃이 출연하는 축제 아닐까? 그러니까 지역주민 스스로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만들면 주민 모두가 참여해 축하할 수 있고, 뜨거운 격려와 함께 멋진 마무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축제를 통해 지역주민의 소통과 화합을 원한다면 어린아이에서부터 어른까지 함께 진행하는 축제, 미래발전을 기대하는 멋진 한마당이 돼야 할 것이다.
요즘 작은 동네에서 꾸미는 축제가 꽤나 인정을 받고 있는 게 사실이다. 물론 작은 동네에서 만들다보니 규모도 작고 외부에서 보러 오는 사람이 적지만 제법 알차다. 준비하는 동안 지역주민들은 얼마나 자주 만났을 것이며 하물며 싸우기까지 했었을 테지만 끝나고 나서의 보람과 성과는 분명 클 것이다.
지역주민들이 적극 동참하는 축제는 외부로도 확산될 수 있다. 이런 분위기에 무슨 소외감이나 위화감이 있겠는가, 외부에서 초청한 인사들로 구성된 축제는 눈요깃거리와 관람객 수를 늘릴 수 있을지 몰라도 지역주민의 화합과 단결, 미래 발전까지 기대하기란 어렵다고 본다. 지역에서 인재양성이나 능력배양, 역량 강화하기란 시간과 배려가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분명 이런 간접적인 지원이 지역의 자원이 되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도 바꿀 수 있다.
재미있는 축제를 만들자, 보여주기 식의 축제 말고 지역주민들이 하나 되는 축제, 우리 지역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축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살릴 하나의 방법이 함께 축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살아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가 버려야 할 것은 문화사대주의다. 외부에서 왔다면 너도나도 달려드는 문화사대주의를 우리가 과감하게 버릴 줄 안다면 분명 지역문화는 살아날 것이며, 지역문화를 성장시키는 힘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