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공공기관 4곳 2년간 채용 110명 중 제주출신 고작 2명


제주혁신도시 사업이 지역에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16일 제주도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등을 대상으로 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위원장 박기춘)의 국정감사에서 김윤덕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전주 완산 갑)에 따르면 제주혁신도시 조성사업에 지역 업체 참여가 30%도 안 되고 지역 출신 인재 채용도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부가 제출한 혁신도시 사업 수주 현황자료 분석 결과 전체 사업비 693억원 중 지역 업체 수주액은 193억원으로 2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66.6%인 462억원은 수도권 업체가 수주했다.
이는 지역 업체 수주 비율이 높은 광주·전남(68.2%)의 절반도 안 되는 수치다.
김 의원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혁신도시 사업이 결국 수도권 업체 배만 불려준 꼴이 됐다고 지적했다.
또 2012년부터 올해 7월까지 제주에 이전하는 4개 기관에서 모두 110명을 신규로 채용했지만 제주지역 출신 대학을 졸업한 인원은 고작 2명에 그쳤다.
특히 2012년과 2013년 93명을 채용하면서 지역 출신은 단 한명도 채용하지 않았고 올 들어 국토교통인재개발원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이 각각 1명씩만을 채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전국의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임직원들의 퇴직·휴직 비율도 제주가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의 경우 이전 공공기관 4곳에서 최근 3년 동안 퇴직하거나 휴직한 인원은 현원 674명 중 150명으로 퇴·휴직률이 22.26%로 울산(25.09%), 대구(24.99%), 세종(24.88)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높았다.
김 의원은 “제주혁신도시에 입주 예정인 재외동포재단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은 아직도 이전일을 잡지 못하고 구체적인 계획조차 마련되지 않았다”며 “균형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혁신도시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이전 공공기관이 혁신도시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한시적으로라도 지역인재 채용 의무할당제 도입을 제안했다. [제주매일 이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