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수(三修)하는 전국 수석’ 元지사
삼수(三修)하는 전국 수석’ 元지사
  • 제주매일
  • 승인 2014.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희룡 지사는 대입 학력고사 때 전국 수석을 했다. 서울대도 수석 합격이었고, 사법고시 역시 수석이었다. ‘수석 3관왕’인 셈이다. 그에게 수재(秀才)라 일컫는 이유다.

원희룡 지사는 사법시험 합격 후 한참동안 검사생활을 했고, 정치에 입문, 고향 제주가 아닌 서울 ‘양천 갑(甲)’을 지역구로 국회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한 때 한나라당 대통령후보 경선에도 나선 바 있었던 그는 지난 6·4 지방선거 때 고향 제주에서 도지사에 당선 되어 현재 100여 일째 도정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지사 취임 후 100여 일밖에 안 된 시점에서 원희룡 도정을 평가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임기 4년 중 절반인 2년쯤 후라야 그의 제주지사로서의 성공 여부가 가려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지사 취임 초기라 하더라도 인사 문제 등 부분적인 행정업무에 대해서는 시(是)와 비(非)를 분명히 가려 주는 게 마땅하다. 그것이 100일을 뺀 임기 4년의 원희룡 도정에게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임기 초기에 나타난 원희룡 도정의 취약점은 인사에 있다. 인사는 잘 하면 만사(萬事)요, 잘못하면 망사(亡事)라 했다.

원희룡 지사의 첫 인사인 공무원 인사에 한해서는 ‘비교적 무난하다’는 평을 받았다. 지난 도정들이 저질렀던 선거공신 기용이나 공무원 줄 세우기 현상이 줄어들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기 중인 제주도 출자·출연기관장 교체와 제주시장 인사는 실패 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임기 중인 출자·출연기관장들을 사퇴케 하고 그 자리를 선거공신들의 논공행상용으로 악용해 온 것은 과거 20년 이래의 적폐였다.

그럼에도 이러한 적폐를 종식시키지 못한 채 “재평가 후 신임을 묻겠다”며 기관장들의 사표를 받아 사퇴시킨 것은 원희룡 지사답지 않은 처사였다. “신관(新官)이 구관(舊官)보다 나은 게 뭐냐는 불만의 소리가 나오게 된 연유다.

두 차례 제주시장 인사 실패는 원희룡 지사도 시인 했다. 도민에 “죄송하다”고 했다. 그래서 제주시장 인사를 삼수(三修)나 하게 됐다고 했다. 전국 수석의 재수(再修)도 아닌 삼수를 도민은 지켜보고 있다. 사수(四修)까지 간다면 그건 망사(亡事)요 낭패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