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사례로 적발된 총 24건에 관련 된 교수와 직원들이 270명이라니 정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비리 사례들이 가히 전 분야 적이다. 예산·복무 관련이 9건, 입시·학사 관련이 5건, 인사·복무관련이 4건, 시설·기자재 관련이 3건씩이며, 특히 교수들의 연구비와 관련해서도 3건이나 된다.
우리가 교육부의 제주대학 종합감사 결과를 보며 더욱 놀라는 것은 대학은, 특히 국립대학은 일반 행정기관과는 구별되기 때문이다.
다른 공직사회가 설사 비리에 물들고 있더라도 대학사회만은 달라야 한다. 학문의 전당이요, 최고 지성의 집합체라고 하는, 학자·교수들이 주요 구성원인 대학사회에서 수 십 명도 아닌 수 백 명이 비위를 저질렀다는 것은 도무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 더구나 국립대학에서 말이다.
연구수당의 경우를 보자. 교수 21명은 각자 수행하는 연구과제에 가족들을 연구보조원으로 참여시켜 21명이 총 3억7300만원의 연구 수당을 지급 받았다고 한다. 엄연히 대학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이다.
총장 승인 없이 멋대로 외국여행을 다녀 온 교수들도 75명이나 된다. 이중 7명은 허위로 국내 출장 신청서를 제출해 놓고 국외여행을 했으며 7명중 4명은 국내여비 130만원까지 챙겼다.
이 밖에 개인 일로 휴강하고도 보강수업을 하지 않은 채 초과 강사료를 받아간 교수도 5명이나 되며, 교수채용과정에서 2010학년도에는 ‘전공불일치’로 평가된 논문이 이듬해에는 ‘전공 일치’로 평가한 일도 있었다.
심지어 산학협력교수 특별채용 때 자격요건 미달 자가 교수로 채용 됐는가 하면 교수 27명은 출석 미달 학생 33명에게 학점을 부여했고, 졸업 시험문제를 2~4학기 동안 반복 출제한 게으른 교수도 19명이나 됐다. 그리고 자격미달 5명의 학생에게 200여만 원 상당의 성적우수 장학금을 준 교수도 10명이다.
설사 제주대학의 비위 교직원들이 전체의 일부라 하더라도 그 수가 무려 270명이나 된다. 제발 제주대학 교수들은 학자적 양심으로 되돌아오기 바란다. 우리 사회는 그래도 대학과 대학교수를 믿고 있는데 대학의 교수마저 망가져서야 되겠는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