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훈 시장은 엊그제 확대 간부회의 때만 해도 감사위 특별조사를 부정하고 자신을 포함한 관련 공무원들이 아무런 잘못이 없음에도 징계처분을 요구 받은 것처럼 발언함으로써 자진사퇴의 기미를 전혀 보이지 않았었다.
이지훈 시장은 이 간부회의에서 “감사위 조사에서 저와 관련된 일로 제주시공직자들이 징계처분 요구를 받았지만 이게 최종 결정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관련 공직자들이 민원인을 위해 적극적 행정을 하다 징계를 당할 지경에 처해 있다”며 “반드시 진실을 밝혀 명예를 회복시키는 데 저도 최선을 다해 도울 것”이라고 했었다.
이러한 이(李) 시장이 갑자기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6일 저녁 자신의 집무실에서 7일자로 사직서를 쓰고 원희룡 지사에게 자진 사퇴의 뜻을 전한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원희룡 지사도 이지훈 시장의 사표를 수리 할 것임이 분명하다. 현재로서는 그것이 최상책이기 때문이다.
이지훈 시장은 단명시장으로 물러나면서 아쉬움이 없지 않을 것이다. 자신이 저지른 일에 대해 과소평가 할 수도 있고 감사위원회 특별조사에도 혹시 온정적인 결과를 기대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정서는 비단 이지훈 시장뿐이 아니라 인지상정(人之常情)일 수도 있다. 그러나 세론(世論)과 공적 시스템은 냉혹했다. 어쩌면 이지훈 시장이 45만 인구의 제주시장이라는 공공적 지위 때문에 더욱 냉혹했을지도 모른다.
이제는 이지훈 시장도 사인(私人)으로 돌아갔다. 사인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그에 대한 시비도 더 이상 없을 것이다. 바로 이 점이 공인과 사인의 차이점이다. 특히 이지훈 시장이 더 이상 시일을 끌지 않고 사퇴하는 용단을 보인 것은 잘한 일이다. 시일을 끌면 끌수록 이시장 본인에게도 이로울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이지훈 시장은 제주시민운동의 1세대로서 제주도의 환경운동과 행정기관의 감시 감독에 많은 공을 세운 것도 사실이다. 한 때의 실수로 단명시장이 됐다 해서 그러한 공적까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시민들이 기억해 둬야 할 사항이다.
원희룡지사도 후임 제주시장을 조속히 인선 하되 이번 일을 교훈삼아 인사 검증에 실수가 없도록 명심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