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주민자치연대는 지난 25일 논평을 내고 “이지훈 제주 시장이 취임 직후부터 부동산 투기-주택 불법 증축-불법 가설 건축물 설치-무허가 숙박업-농업보조금 목적 외 사용 등 계속된 의혹으로 감사위원회의 특별 감사까지 받고 있음”을 상기 시키면서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그래서 “이지훈 시장은 45만 제주시민을 이끌어갈 원동력을 이미 상실했다”며 스스로 결자해지(結者解之)하는 진정한 모습을 보여 줘야 한다고 충고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의 이러한 논평이 나간 지 3일 만인 28일에는 제주경실련도 성명을 발표하고 이지훈 제주시장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그 이유는 큰 틀에서 주민자치연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제주경실련은 성명을 통해 “이지훈 시장은 이미 도덕성에 치명상을 입었다. 민심도 등을 돌리고 있다. 버틸수록 민심만 악화될 뿐이다. 스스로 물러나는 게 마땅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실련은 또한 “이지훈 시장은 사과보다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떠넘기거나 관행을 운운하며 넘어가려는 모습만 보이고 있다”며 “책임을 전가하려는 모습은 45만 제주시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특히 경실련의 성명에서 예의 주시할 점은 제주도 감사위원회에 대해 언급한 대목이다. 경실련은 감사위원회를 향해 “이번에도 역시나 봐주기 식 조사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고 전하면서 “명명백백하게 의혹에 대한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경실련 성명 중 이 대목에 이르러서는 깊은 행간의 의미가 숨어 있는 듯하다. 그것을 이해하려면 역시 그동안 원희룡 지사와 이지훈 시장이 해 왔던 말의 행간 의미를 더듬어 보는 게 도움이 될 듯하다.
원희룡 지사와 이지훈 시장은 감사위원회 감사 착수 이후 줄곧 “감사결과를 지켜보자”고 말해 왔다. 해석에 따라서는 감사위에 뭔가를 바라는 뉘앙스가 풍길 수도 있다. 경실련 성명도 이를 알아차리고 감사위원회에 특별히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는지도 모른다. 만약 감사위원회가 어물쩍 넘어갔다가는 다음에는 도민들의 비난의 화살이 감사위를 향하게 될 것이다. 현재로서 최선책은 이지훈 시장 사퇴뿐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