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휴가 ‘늦게·길게·멀리·소규모’로 변화
여름휴가 ‘늦게·길게·멀리·소규모’로 변화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4.0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교통부, 지난 10년간 통행패턴 분석…인구·기후변화·소득 영향

[제주매일 진기철 기자] 지난 10년간 하계휴가는 소득향상 및 SOC 확충 등으로 3박 4일 이상으로 길어졌고 해외 또는 제주도 및 남해안 등의 장거리 여행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기후변화, 인식변화 및 저출산 등으로 인해 7월말에서 8월초로 집중됐던 일정이 8월 중하순까지 분산됐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해 지난 10년간 하계휴가기간 통행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3박4일 이상 장기체류 여행은 2005년 38.5%에서 41.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해외여행비율은 4.6%에서 7.7%로 제주도 및 남해안으로의 여행비율은 21.2%에서 28.3%롤 각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통적인 7월 5주~8월 1주 휴가출발비율은 71.4%에서 60.3%로 감소한 반면 8월 2주 이후 출발비율은 10.4%에서 21.3%로 증가하는 등 여행시기가 점자 분산된 것으로 분석됐다.

휴가예정지는 동해안권 및 강원내륙권 선호도(38.7%→38.4%)가 여전히 높았으며, 제주도 및 남해안지역 비율(제주 5.5%→8.3%, 남해안 15.7%→20.0%)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해외여행 비율은 7.7%로 3.0%포인트 증가, 하계휴가기간 중 해외여행에 대한 선호도 역시 크게 늘었다.

휴가 동행인원은 점차 적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4명 단위 이동이 여전히 압도적 우위를 차지했지만 점차 줄어들면서 1~2명 단위 이동이 증가했다.

하계휴가 계획시점은 2011년 대비 6월 이전이 45.8%를 차지, 22%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해외여행 또는 장기간 여행 등을 위한 사전 예약 필요성 등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