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C, 어쩌다 ‘해체론’까지 나오나
JDC, 어쩌다 ‘해체론’까지 나오나
  • 제주매일
  • 승인 2014.0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를 국제자유도시로 만들기 위해 설립된 JDC(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가 어쩌다 ‘해체론’의 대상이 되었는지 한심스럽다.
“JDC를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한 곳은 정의당 제주도당이다. JDC 설립 후 해체를 주장한 첫 케이스다. 아무리 군소정당이라고는 하지만 까닭 없이 해 보는 소리가 아니라는 점에서 당사자인 JDC는 귀담아 들어야 한다.
정의당 제주도당은 최근 “부동산 브로커에 이어 대출 알선까지 하는 JDC”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 놓았다. 정의당은 이 논평에서 “JDC는 제주도에 더 이상 공기업으로서 존재해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음이 계속 확인 되고 있다”고 말하면서 몇 가지 대표적 사례들을 지적하고 있다.
정의당 제주도당은 우선 JDC의 버자야그룹 대출 보증을 예로 들었다. 서귀포시 예래동에 대규모 휴양형 리조트 관광단지를 조성하고 있는 버자야 그룹과 대출회사인 대주단 등 제삼자간의 부동산 매매예약을 체결하게 하면서 대출보증을 섰다는 것이다. “개발비도 제대로 충당 못하는 버자야 그룹에, 손도 안대고 코풀 수 있도록 대출을 알선해 주고 보증까지 서 주어야 하는가”라고 묻고 있다. 그러면서 정의당은 “JDC는 전매특허인 부동산 브로커에 이어 사업영역을 대출알선으로까지 늘린 셈”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정의당이 ‘JDC해체론’을 주장하게 된 이유는 꼭 이것만이 아닐 것이다. 빚더미 속의 성과급 돈 잔치, 제주신화역사공원의 용적률-고도제한 완화 특혜, 직전 이사장의 관련 업체 자문료 수수와 부당 채용, 부당 학자금 문제 등 그동안 누적돼 온 JDC의 잘못된 행태들을 보다 못해 내린 결론일 것이다.
더구나 앞으로도 성과급을 노려 직원복지를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등의 ‘땜질 처방’을 하고 있다니 도민에게 쓴 소리를 들을 수밖에 없다.
JDC는 정의당의 ‘해체론’을 그 흔한 ‘정치적 수사(修辭)’로만 받아들일 일이 아니다. 설사 ‘해체론’이 도를 넘은 표현이라 하더라도 지적한 내용들만은 일반 도민들도 공감하고 있다는 점을 지나쳐서는 안 된다.
JDC는 지금까지 걸어 온 길을 총체적으로 점검해 반성할 것은 반성하면서 나아갈 길을 분명히 재점검해야 한다. 지금과 같은 행태가 계속 되다가는 정의당 뿐만 아니라 도민들까지도 ‘해체론’에 동의 할 지도 모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