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넙치 유암수 전자 판별법 개발
어린 넙치 유암수 전자 판별법 개발
  • 신정익 기자
  • 승인 2014.0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매일 신정익 기자]갓 태어난 어린 넙치의 암수를 구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양식어업인들의 소득을 높이는 데 크게 도움을 줄 전망이다.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정영훈)은 외형으로는 알 수 없는 어린 넙치의 암수를 구분할 수 있는 ‘넙치 성감별 DNA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넙치 암컷은 수컷보다 성장이 약 1.5~2배 이상 빠르고 경제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양식 현장에서는 수컷에 비해 선호도가 높다.

실제 1년간 키운 넙치의 무게를 비교하면 수컷은 평균 510g인데 비해 암컷은 평균 910g에 이른다.

또 양식 넙치 종묘의 암수 비율은 1대1에 가깝기 때문에 성장이 2배 빠른 암컷 넙치를 생산할 경우 양식 단가가 25%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번에 넙치의 유전자 판별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제주를 비롯해 완도 등 국내 넙치 양식어가들은 800억원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넙치 암수 판별은 육안관찰과 생식소의 조직, 호르몬의 농도 및 난황단백질 측정 등의 방법을 사용해 왔다.

하지만 10㎝ 이상의 일정한 크기나 성숙한 어미 넙치에서만 가능하고 검사자의 판별 능력에 따라 오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김우진 박사팀은 작년에 완전 해독된 넙치 게놈 정보를 활용해 암수 염색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DNA를 구성하는 염기 중 단 하나만이 암수간 차이가 있음을 알아내고, 이 원리를 이용해 암수 판별법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생물을 죽이지 않고 극소량의 조직만을 사용해도 암수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수산과학원은 DNA 분석법을 올해 특허출원하고, 내년 민간에 이전할 계획이다.

정영훈 수산과학원장은 “어린 넙치의 암수 선별로 고가에 거래되는 암컷 종묘를 대량 확보함으로써 어가 소득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