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열린 도의회 제319회 임시회 행정자치위원회의 제주시 업무보고에서다. 이 자리에서는 자연스럽게 이지훈 시장의 각종 의혹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어느 의원은 이지훈 시장의 각종 의혹과 관련, “갈등과 혼란을 야기시키는 일부 언론도 감사위원회의 입장이 나오기 전까지는 의혹제기를 자제했으면 한다”고 했다.
이어서 다른 의원도 “일부 언론에서 이지훈 시장에 대한 이야기만 하고 있어 걱정스럽다”며 “그들과의 싸움이 아닌, 시정에 전념해 달라”고 주문 했다.
이에 대해 이지훈 시장은 화답이나 하듯 “시정에 전념 할 수 있도록 언론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변 했다.
우리는 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제주시 업무보고 자리에서의 질의응답을 보면서 과연 이것이 일부 도의원의 언론관이요, 의회관인가 하는 우려를 금할 길이 없다.
언론과 의회는 부분적으로는 제주도와 두 행정시, 즉 제주특별자치도라는 광역 자치단체를 감시-감독 한다는 점에서는 그 기능이 같다.
그러므로 만약 이지훈 시장의 각종 의혹이 언론이 아닌, 도의회가 먼저 알았다면 당연히 진실 규명을 위해 추궁해야 한다. 또한 시장 임명권자인 도지사에 대해서는 인사 검증 소홀을 질책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건 영 반대로 가고 있지 아니 한가. 본질인 ‘의혹’ 자체에 대해서는 제대로 추궁하지 않고 그 의혹을 보도한 언론이 자제해야하고, 시장이 시정에 전념하지 못한 것도 언론 탓으로 돌린다면 “도의원이 이지훈 시장 대변인인가”라는 물음이 나올 법도 하다.
입장을 바꿔 언론보다 도의회가 먼저 이지훈 시장의 의혹을 알고 연일 의회에서 질타한다면 이 경우도 질타하는 의원에게 “자제하라” 할 수 있는가.
물론, 이지훈 시장의 각종 의혹은 제주도 감사위원회 감사나 그것이 미흡하면 감사원 혹은 수사기관까지 나서서 진실을 규명하면 된다.
그렇더라도 도의원이 공식석상에서 언론 보도를 자제해야한다는 식으로 발언하는 것은 매우 적절치 못했다. 도리어 도의회가 감사위 감사와 별도로 진상조사단을 만들어 진실을 규명해야 할 위치에 있다. 이번 일을 계기로 과연 제주도의회는 주민편인가, 이지훈 시장 편인가. 그리고 도민 편인가 도지사 편인가를 생각해 봐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