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첫 케이스가 제주관광공사 사장이다. 전임 사장이 뇌물과 관련, 구속 기소되면서 공석이 된 자리다. 오는 28일 공모(公募)를 마감하게 되므로 늦어도 8월 중순 이전에는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인사 대상이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 자리다. 원희룡 지사 취임 후 이사장이 자진 사표를 낸 곳이다. 제주도는 이 역시 공모에 의해 이사장을 임명할 계획으로 현재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
세 번째가 제주도립미술관장이다. 아직은 현 미술관장 임기가 한 달 가까이 남아 있으므로 후임 관장 발령은 8월 중순 이후가 될 것이다.
원도정(元道政)이 출범하자마자 이루어지는 산하 기관단체장 3석에 대한 인사는 불가피 하다. 3석 모두 공석이거나 임기가 임박했기 때문에 인사를 서두르지 않으면 해당 기관들이 업무 추진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길든 짧든 간에 잔여 임기가 남아 있는 17개 안팎의 기관단체-도 출연기관장들에 대한 인사를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이냐다. 과거 도정(道政)을 답습해서 선거공신, 줄서기, 자기사람들로 전원 물갈이를 할 것이냐, 아니면 원칙을 지켜 전원 임기를 보장해 줄것이냐의 택일의 문제다.
그렇잖아도 원희룡 지사 취임 직후 지방공기업-산하 기관단체장들의 인사문제와 관련 “일괄 사표를 받은 뒤 재신임 문제를 고심하고 있다”는 발언이 알려지면서 당사자들은 물론, 관련 업계가 뒤숭숭 했다. 지사 발언직후 김은석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이 자진 사표를 낸 것도 그에 대한 반발인지도 모른다.
원희룡 지사는 그간의 “사표 제출 후 재신임” 생각을 버려야 한다. 주변상황이 그렇게 변하고 있다. ‘협치’와 ‘통합’차원에서 발탁한 시민사회단체 출신 이지훈 시장이 부동산 의혹에 휩싸이면서 원희룡지사의 인사정책을 의심받기 시작했다. 그 영향은 ‘협치정책실’에도 미쳐 갖가지 억측에 휘말리고 있다.
이러한 의심과 억측을 불식 시키는 길은 “산하 기관단체장들의 임기를 철저히 보장하겠다”고 공표하는 것뿐이다. 그래서 “원희룡 지사는 과거 지사와 다르다”는 인식을 심어 줘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협치’도 ‘통합’도 어려울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