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실련은 엊그제 성명서를 통해 이지훈 시장이 주택 등 건축 허가와 관련,“사전에 특혜 의혹을 받고 있었음에도 제주시장에 취임한 것 자체가 부끄럽고 실망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하면서 의혹 규명을 요구한 것이다.
이지훈 제주시장의 취임 전 ‘건축허가 특혜 시비’는 제주경실련의 성명발표 이전에 이미 일부 언론보도로 파문을 일으켰다.
논란의 시작은 2010년 10월부터다. 이지훈 시장은 국가지정문화재인 구좌읍 평대리 비자림 입구 부근 토지 1만여㎡를 법원 경매를 통해 취득 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곳은 상수도 공급난으로 사실상 건축허가가 불가능한 곳이지만 2013년 3월 단독주택과 소매점을 지을 수 있었던 것은 특혜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뿐이 아니다. 물 문제도 인근 비자림의 공용수를 끌어다 개인용으로 쓰고 있으며 심지어 무허가 컨테이너까지 설치해 사용해 왔다고 한다.
그러나 구좌읍의 얘기는 다르다. 컨테이너 설치 외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만약 행정 당국인 구좌읍 관계자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문제는 달라진다. 이지훈 제주시장이 억울하게 매도 됐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제주도 감사위원회가 이지훈 제주시장의 의혹에 대해 감사에 착수했으므로 정답을 내 놓아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지훈 시장은 평생 시민사회단체의 지도자로 살아 왔다. 그리고 원희룡 도정 들어 협치 차원에서 현을생 서귀포시장과 더불어 첫 시민사회단체 출신 제주시장으로 발탁 되었다.
때문에 제주도감사위가 이번 의혹 사건을 공명정대하게 감사해 누가 잘, 잘못인지 정확한 정답을 내놓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 어물어물 넘어가게 되면 제주사회가 혼미해진다. 원희룡 지사의 인사 행정이 신뢰를 잃게 되며, 시민사회단체 또한 믿음을 상실하게 된다. 이지훈 시장 자신도 제주시 행정을 이끌어 가기가 쉽지 않을 줄 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곳은 감사위 뿐이다. 이왕 감사에 착수한 바에 잘못이 없으면 명예를 회복해 주고 잘못이 있으면 그에 상응한 조치를 취하면 된다. 새 도정이 출범해서 협치가 강조되고, 소통과 통합이 논의 되고 있는 중요한 시기에 온도민이 지켜보고 있는 문제를 덮어 둘 수만은 없지 아니한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