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제주 관피아’ 완전히 도려내라
검찰, ‘제주 관피아’ 완전히 도려내라
  • 제주매일
  • 승인 2014.0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지검이 ‘관(官)피아’ 척결을 위해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한지 40여 일만에 드디어 3~4건에 대해 내사에 착수했다고 한다.
‘관피아’는 세월호 참사 이후 대표적인 부정부패 사례로 떠올랐다. 관료 출신이 공공기관, 혹은 관련 기업으로 자리를 옮겨 행정기관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관례처럼 각종 비리를 저질러 온 것이 바로 이‘관피아’들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피아’를 척결하기 위해 제주검찰은 지난 5월22일 차장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특별수사본부’를 설치, 그동안 관련 정보 수집 등에 주력해 왔다. ‘특별수사본부’에는 본부장인 차장검사를 포함, 전담 검사 4명과 수사관 18명 등 23명의 정예 요원들이 배치돼 관련 업무를 진행해 왔다. 제주검찰로서는 근래에 보기 드믄 대규모 특별수사본부다.
검찰 관계자의 말처럼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3~4건은 내사 단계인 만큼 그 내용은 확인 되지 않고 있으나 이미 참고인들을 불러 조사하고 있는 것을 보면 관련자들에 대한 증거 확보와 혐의 입증에 주력하고 있는 단계인 것 같다. 검찰이 만약 이 3~4건의 내사 사건을 규모가 큰 전형적인 ‘관피아’ 사건으로 밝혀낸다면 ‘특별수사본부’ 설치 40여일만의 성과치고는 평가 받을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검찰의 ‘특별수사본부’는 제주의 ‘관피아’는 물론, ‘개피아(개발사업+마피아)’들까지 모조리 도려내 지역사회의 부패 고리들을 없애야 한다.
제주는 2010년대 이후 급변하고 있다. 그 변혁을 주도하는 것이 바로 전국적, 세계적이라 할만 한 초대형 개발 사업들이다. 거기에는 세계적 재벌급의 외국 자본들이 한 몫하고 있다. 그래서 보호 받아야 할 자연과 자원이 망가지고 있다.
검찰이 이왕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한 김에 이들 개발사업과 관련된 ‘관피아’ ‘개피아’들이 없는지 깊이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그렇잖아도 최근 몇 년 동안 제주 공무원사회에 비리가 만연돼 공직기강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지검의 ‘관피아 특별수사본부’ 활동에 따라서는 제주 공직사회의 청렴도 회복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