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제주도가 설치한 위원회가 무려 171개나 된다. 전체 위원회 소속 위원의 총 인원 수가 171이 아니라, 위원회라는 단체 수가 171개라는 얘기다.
제주도 실-국별로 위원회가 없는 곳이 없다. 아니 없는 곳은 고사하고 각 실-국 단위로 위원회가 많은 곳은 21개, 적어야 9개 위원회가 설치 돼 있다.
물론 171개 위원회가 모두 법이나 훈령, 조례-규칙 등을 근거로 설치돼 혹은 의결 기능, 혹은 심의-자문 기능 등을 부여하고 있다.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위원회 중에는 1년 내내 회의 한 번 열지 않은 곳이 23개나 되는가 하면, 심지어 10개 위원회는 최근 2년간 단 한차례의 모임도 갖지 않았다는 데있다. 다시 말해 171개 위원회 중 33개 위원회가 1년 이상 회의 한 번 열지 않은, 말 그대로 있으나마나한 부실 위원회로 전락하고 말았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구태여 형식적이요, 유명무실한 33개의 위원회를 그대로 존치시킬 필요가 어디 있겠는가. 존치시키는 자체가 행정 당국의 나태요 무관심이다.
이 문제는 비단 지금에야 대두된 것이 아니다. 오래 전부터 개점휴업인 위원회의 통폐합이 거론 됐지만 방치하고 있다. 마침 원희룡 당선자의 ‘새 도정준비위’도 통폐합을 거론하고 있는 만큼 취임과 동시에 과감히 정비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