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동타워프로빌아파트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16일 제주시청을 항의 방문한 자리에서 “한일시티파크 공사에 따른 주민 피해가 잇따르고 있지만 제주시가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소속 주민 50여명은 이날 오전 10시 제주시청 현관 앞에서 항의 집회를 열고 “행정이 주민피해를 인지하지 못하고 건설사 대변인 노릇만 하고 있다”면서 “탁상행정을 멈추고 주민의 목소리를 들어 달라”고 주장했다.
주민들이 시청으로 몰려온 이유는 2010년 한일시티파크가 설계를 변경, 타워프로빌 아파트 침실과 한일시티파크 거실 사이가 불과 2m(최소 50cm)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됐고, 설계변경 전에 없었던 에어컨 실외기 32개가 타워프로빌 침실 쪽으로 향하면서 심각한 사생활 침해 받게됐다는 것이다.
여기에 휴일 새벽까지 무리하게 공사를 진행, 극심한 소음피해를 입는 것도 주민들을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은 제주시가 주민들의 사생활 침해 우려를 알면서 무리하게 설계를 변경해 줬다며 설계·시공자·공무원 결탁 의혹도 제기한 상황.
비대위는 “설계사와 시행사, 제주시의 결탁 없이 설계변경은 불가능 했다”면서 “제주시가 주민 사생활 침해가 우려되는 것을 알면서도 현장 확인 없이 설계를 변경해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공사가 진행되는 1년 동안 소음 등에 따른 민원을 제기해 왔지만 행정에선 주민의견을 묵살했다”고 주장했다.
일부 주민들은 김상오 제주시장 면담을 요구하면서 제주시청 현관 앞을 막아선 공무원들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대치 1시간여 만인 오전 11시께 김상오 시장이 주민들과의 면담을 수락하면서 최악의 사태는 피할 수 있었다.
이날 제1 별관회의실에서 진행된 주민들과의 면담에서 김 시장은 “(시장)직을 걸고 법테두리를 벗어나는 공사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시장은 하지만 시행사-공무원 결탁 의혹에 대해선 “그런 절대 있을 수 없다”면서 “설계 변경 후 주민 피해가 우려되는 부분에 대해선 시행사 등과 협의, 기술적으로 풀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