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농 제주도연맹, 살충제로 인한 피해 우려...육상방제로 전환 촉구
[제주매일 신정익 기자] 소나무 재선충 방제를 위한 항공방제가 친환경농가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의장 김성용)은 지난 14일 성명을 내고 “제주도가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를 퇴치하기 위해 실시하는 항공방제가 도내 친환경농업 기반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제주도연맹은 “항공방제에 사용되는 살충제인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는 집단임지(오름)등지에 나무 3m 높이에서 살포되고 있다”며 “이 살충제가 친환경 농산물에 조금이라도 닿게 되면 친환경농산물 인증이 취소되기 때문에 농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 농약은 반드시 사용 기준에 따라 사용해야 하고, 잘못 사용했을 경우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먹거리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제주도연맹은 우려했다.
제주도는 지난 13일까지 소나무재선충병 2차 항공방제를 실시한데 이어 오는 30일부터 7월 4일까지 3차 방제 등 오는 8월 15일까지 추가로 도 전역 2000㏊의 해송림을 대상으로 3차례 더 계획돼 있다.
제주도연맹은 항공방제로 인해 친환경농산물 생산 농가 들이 피해를 입을 경우 보상을 해 주겠다고 제주도 당국이 밝히고 있지만 대책은 막연하다고 주장했다.
제주도연맹은 “친환경농사는 인증이 취소되면 다시 인증 받기 어렵다”면서 “친환경농업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높은 항공방제를 당장 중단하고 육상방제 등 새로운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주도에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