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도지사 당선인은 최근 6.4선거 경쟁자였던 새정치민주연합 신구범 전 지사에게 ‘새 도정준비위원회’ 위원장직을 제안 했고 “심사숙고 하겠다”는 답변을 얻은 것으로 전해졌다.
원희룡 당선자는 신구범 전 지사가 비록 정당이 다르고 6.4선거에서 같은 도지사 후보로 경쟁을 벌였지만 “도민 대 통합을 이루는 데 최적의 적임자”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신구범 전 지사도 “원희룡 당선인으로부터 ‘새 도정준비위원장’을 맡아 달라는 제안을 받았다”고 확인해 주면서 “제안의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원희룡 당선자의 신구범 전 지사에 대한 ‘새 도정준비위원장’ 제안은 큰 용단이다. 또한 이 제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신구범 전 지사 역시 더 큰 용단이자 관대함이다.
따라서 신구범 전지사의 ‘새 도정준비위원장’ 취임은 성사 돼야 한다. 이것이야 말로 원희룡 당선인의 ‘협치’의 첫 출발이 되기 때문이다. 솔직히 지금까지 도지사 당선인이 자신의 인맥이 아닌, 정당도 다르고 경쟁자였던 인사를 통 크게 도정 인수위원장으로 영입한 적이 있었는가. 역대 도지사 당선인들은 엄두도 못 냈던 도민 대통합의 첫 발걸음을 내 딪고자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정치민주연합은 “야합이다. 상대당 후보였던 사람을 당선인 인수위원장으로 위촉하려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독단적인 처사로서 지탄 받아 마땅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비판에 앞서 생각을 바꿀 필요가 있다. 6.4지방선거는 교육감-도의원 선거에서는 말썽이 많았지만 도지사 선거만큼은 그래도 정책 선거였다. 간혹 가다 신구범-원희룡 후보가 마주치면 포옹하고 악수하는 아름다운 장면도 있었다. 선거의 승패를 놓고 서로 원망하며 등 돌릴 하등의 이유가 없다.
이번 선거에 나타난 민심도 그렇다. 세대와 시대를 교체함으로써 그동안 쌓인 갈등을 해소하고 제주의 대 통합을 이루고자함이었다. 그러기에 원희룡-신구범 두 승자와 패자간의 협력은 제주사회를 대 통합으로 이끄는 원동력이 될 수가 있다. 이것이 제주의 민심이다. 아마도 제주도민 절대 다수는 신구범 전 도지사의 ‘새 도정준비위원장’ 취임을 환영할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야합론’은 당치도 않다. 그렇다면 안철수 당과 민주당의 통합도 야합이며 대통령이 야당 인물을 총리로 기용해도 야합인가. 여-야 정당, 학계, 시민사화단체 인사들로 거국내각을 구성해도 야합이란 말인가. 새정치민주연합 제주도 당도 신구범 전 지사의 도정준비위원장 취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