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제주도지사 선거운동 기간 원 당선인 측은 이 사업과 관련, 차기 도정으로 넘길 것을 수차례 요구했다. 그러나 우 도정은 이를 무시한 채 건축허가를 내줬다. 물론 건축허가 승인권자는 제주시장이지만 사실상 제주도가 이를 주도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민선 5기 우근민 도정의 출발은 그럴 듯했다. 우 도정은 ‘선 보전 후 개발’이라는 개발 구호를 취임 때부터 내건 뒤 임기 중 이를 수 없이 강조해 왔다. 그러나 이는 공허한 구호일 뿐 실제 그간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이에 반하는 사업들이 도내 각지에서 전개됐다. 외자유치 등의 명분을 내세워 개발 사업이 주를 이루고 환경보전은 곳곳에서 개발 광풍에 밀렸다.
이는 새로 들어서는 민선 6기 원희룡 도정에 반면교사가 될 수밖에 없다. 전임자가 잘못한 것까지 후임자가 그대로 쫓아간다면 이는 이번 선거에서 드러난 이른바 ‘제주판 3김 청산’의 여론을 무시한 행태임이 분명하다. 이번 제주지역 도지사 선거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사이에 벌어진 여야 대결이 아니라 ‘제주판 3김’에 진저리 난 도민들이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 선택으로 귀결된다. 이는 도지사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후보를 절대적으로 지지하고도 도의원 선거에서는 균형을 지킨 선거 결과가 증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선 원희룡 당선인은 그동안 많은 문제를 드러낸 연동 드림타워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물론 사업 승인이 이뤄진 문제에 대해 다시 원점에서 이를 검토할 경우 행정의 공신력 문제 등이 제기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문제가 분명한 사업을 그대로 끌고 간다는 것은 더 큰 문제를 낳을 수밖에 없다. 개발사업자와 절충을 통해 건물의 고도를 조금 낮추는 등의 미봉책 보다 이 사업의 근본적인 문제를 찾아내 이를 바로 세워야 한다는 데 이론이 있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