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후유증 치유에도 ‘協治’를
선거 후유증 치유에도 ‘協治’를
  • 제주매일
  • 승인 2014.0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6.4지방선거에서 새로운 화두는 ‘협치’였다. 도지사의 권한을 도민과 나누어 도정을 함께 운영해 나간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협치 정신’을 먼저 선거 후유증 치유에도 활용했으면 한다. 선거기간 동안 상처를 주고받은 후보끼리, 혹은 운동원들 끼리 서로 아픔을 치유해 주고 잘못이 있으면 허심탄회하게 용서를 구하는 데에도 ‘협치’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도민화합을 위해서 그렇다.
6.4선거는 이제 막을 내렸지만 그 후유증은 심각할 것이다. 선거 기간 내내 각 후보들 간에 있었던 비방, 흑색선전, 금품-향응 제공, 심지어 고소-고발까지 아물기 어려운 상처들이 많을 것이다.. 낙선 된 것만도 마음이 아픈데 거기에 억울함까지 겹쳤다면 두고두고 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설사 당선이 됐더라도 터무니없는 비방이나 사실무근의 허위사실 유포로 피해를 입었다면 이 또한 참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선거후유증 치유와 이해, 용서에 의한 화합 역시 선거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다.
선거로 인한 후유증이 치유되지 않는다면 또 다시 새로운 지역갈등이 만들어져 새 시대, 새 세대의 출범에도 불구하고 과거로 회귀해버릴 수도 있다.
선거 후유증 치유를 위해서는 먼저 당선인들부터 적극 나서야 한다. 잘못이 있으면 먼저 용서를 구하고, 억울한 점이 있더라도 솔선해서 양해를 할 줄 아는 도량이 있어야 한다. 선거후유증에 대해 금도(襟度)를 베풀어야 할 쪽은 항상 당선인들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 도민들도 선거 후유증에 대한 시비에 앞서 치유를 위한 협치에 함께 협력해 주기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