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매일 신정익 기자] 지난달 제주지역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런 주택 인허가 실적 증가세는 지역 민간건설 경기에는 부양효과로 작용하겠지만, 최근 도내 미분양주택 물량도 적지 않은 상태여서 중장기적으로는 주택분양시장에 부담이 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19일 발표한 ‘4월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에서 이뤄진 주택 건설 인허가은 1083가구로 지난해 같은 달(857가구)에 비해 26.4% 증가했다.
전달 증가율(17.5%)을 웃돌면서 주택건설 시장 회복세가 가시화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2011~2013년 3년 평균 4월 실적(1056가구)에 비해서도 2.6% 늘었다.
이에 따라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이뤄진 인허가 실적은 2960가구로 지난해 동기(1809가구)와 견줘 무려 63.6%나 증가했다. 이는 전국평균(27.7%)과 지방평균(20.1%)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원룸과 다세대 등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은 지난달 627가구로 1년 전에 비해 무려 5배 이상 늘었다. 또 3월(52가구)과 비교해서는 12배 가량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올들어 1~4월 이뤄진 인허가 실적은 816가구로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 108.2%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들어 감소세를 보이던 주택 및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이 다시 큰 폭의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도내 주택분양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
최근까지 미분양주택과 준공후 미분양주택이 900가구를 넘어서면서 민간 주택건설시장에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 다시 주택 인허가 실적이 늘어 주택 수요와 공급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