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4일 실시되는 제 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지역 후보등록이 끝났다. 이번 선거에 등록을 마친 후보는 도지사 후보 4명을 비롯해 교육감 후보 4명, 도의원 후보 74명, 교육의원 후보 10명 등이다. 이번 선거에 나서는 후보들이 선거관리위원회에 공식으로 후보 등록을 마쳐 사실상의 공식 선거전이 시작됐다.
올 제주도지사 선거의 경우 지난 선거에 이어 이번에도 현직 도지사가 출마를 포기하는 ‘이상 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두말하지 않더라고 재직기간 민심을 잃은 것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닐 수 없다. 역대 각종 선거를 볼 때 선거운동 기간에는 유권자를 말 그대로 ‘지방정부의 주인’으로 받드는 모습을 보이지만 당선된 뒤에는 유권자들을 망각했다. 제주지사 선거의 경우는 더더욱 이 같은 점을 극명하게 보여줬다.
앞으로 전개될 공식선거 운동기간 중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들은 유권자들에게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면서 한 표를 호소한다. 문제는 단기간에 수많은 후보들이 제주 전역에서 선거전을 벌이게 돼 유권자 입장에서는 각 후보들의 정책공약을 검증하기가 사실상 쉽지 않다. 그러나 후보자의 공약은 향후 제주도정과 제주도교육정책이 나가는 근간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유권자들은 해당 후보의 정책과 그 정책의 실현 가능성 등을 꼼꼼하게 따져 과연 어느 후보가 제주발전을 위해 필요한지를 판단해야 한다. 지방의원 후보들까지 포함하면 많은 후보들이 자신들만의 공약을 강조하겠지만, 현실적으로 후보들의 공약이 정책에 접목되기 위해서는 실현가능성이 전제돼야 한다. 아무리 훌륭한 공약이라도 이뤄질 수 없는 것은 공약을 빙자한 거짓말이다.
선거는 한 후보에게 승리를 안겨주는 것이고 이는 유권자 선택의 당연한 결과다. 우리 속담에 돌다리도 두들겨 본 다음 건넌다는 말이 있다. 지방선거까지 각 후보의 정책을 판단한 뒤 올바른 한 표를 행사하는 깨어있는 유권자의 자세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