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가계대출 가파른 증가...채무상환 부담 우려 높다
제주 가계대출 가파른 증가...채무상환 부담 우려 높다
  • 신정익 기자
  • 승인 2014.0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매일 신정익 기자] 최근 제주지역 가계대출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개인소득 증가 속도를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나 채무상환에 상당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또 신용등급이 낮은 저신용등급자에 대한 가계대출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잠재적 부실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본부장 박성준)가 14일 내놓은 ‘제주지역 가계대출의 최근 동향 및 평가’를 통해 제주지역 가계대출이 2010년 이후 꾸준히 늘면서 2009년말 3조9000억원에서 지난 2월말 현재 5조3000억원으로 34.7%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율은 10.7%로 전국(4.1%) 및 7개 도지역(9.3%)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주택담보대출이 더 큰 폭으로 늘어 도내 가계대출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제주지역 GRDP(지역내총생산) 대비 가계대출 비율은 44.5%로 7개 도지역(33.3%)보다는 높지만 전국평균(53.9%)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인구 1인당 가계대출 규모는 지난해 말 955만원으로 전국 및 도지역 평균에 비해 낮았다.

제주본부는 지역경제규모와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비율, 1인당 대출규모, 연체율 등을 놓고 보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문제는 소득보다 빠른 대출 증가세와 저신용등급자 대출의 높은 비중, 낮은 소득창출 여력, 주택수요기반 약화 가능성이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은 2011년 61.8%에서 지난해 64.6%로 상승했다. 향후 국내경기 회복 둔화 등 대내외 여건이 악화될 경우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저신용등급자들이 대출 문턱이 낮은 비은행금융기관의 고금리 가계대출에 몰리는 현상도 부실위험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다른 지역보다 낮은 근로소득과 상대적으로 높은 영세 자영업자 비중도 가계대출 상환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침체 등이 심화될 경우 연체율 상승과 부실채권 증가 등의 신용 리스크가 높아진 것이다.

한은 제주본부는 금융기관의 경우 지나친 가계대출 확대를 지양하고 기존 대출고객의 만기 상환부담이 일시에 집중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가계의 경우 소득과 상환 능력을 감안한 대출 등을 통해 적정 부채관리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금리인상 등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늘리고 분할상환을 확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본부 이지선 과장은 “주택가격이 하락할 경우 주택담보대출의 추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제, “제주도와 관련 연구기관, 업계 등은 인구이동과 인구구조, 주택선호도 변화 등에 따른 주택수요 변화와 주택공급 계획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예측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