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불감증'...'대형 참사 불씨'
'위기 불감증'...'대형 참사 불씨'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4.0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지하상가 화재위험 경고에도 후속조치 없어
제주시, 공사 늦는 이유에 대해선...‘묵묵부답’

▲ 제주매일 자료 사진.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 수백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세월호 참사 원인이 총체적인 안전관리 소홀에 따른 인재(人災)로 밝혀지면서 국민들의 분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제주시가 뚜렷한 이유 없이 화재 위험 요소로 지적된 중앙지하도상가 노후 전기 설비 교체 공사를 차일피일 미루면서 다중이용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에 손을 놓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해 9월~12월 중앙지하도상가 전 구간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했다.

진단 결과 건축물 일부 구조물에서 결함부위가 발견됐지만, 지속적인 유지관리로 최소 21년~최대 57년 동안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지하상가 준공(중앙로(1983년)·동문로(1987년)·관덕로(1990년) 이후 단 한차례 교체 없이 사용 중인 천정 내부 전기 설비에 있다. 이미 상당 부분 노후화가 진행된 전기설비들은 지난 정밀진단에서 누전 등에 따른 화재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고, 긴급한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밀진단을 받은 업체는 당시 보고서를 통해 “천정 내부 전기설비의 경우 열과 충격에 취약한 전선관 및 전기들이 거미줄처럼 연결되고, 정리정돈 상태도 불량했다”면서 “또 합성수지 전선 및 전기선 일부가 노출형태로 사용되면서 화재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는 의견을 내놨다.
 
정밀진단 이후 4개월여가 흘렀지만 제주시는 아직까지 노후 전기설비 보수(교체)를 위한 아무런 대책도 마련해 놓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취재가 시작되자 제주시 건설과 관계자는 “다음 달 실시설계용역을 발주 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그동안 용역 발주 등 보수 계획이 늦어진 이유에 대해선 설명하지 못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용역 결과가 나오면 예산을 확보해 빠른 시일 내 보수공사를 마무리 하겠다”고 밝혔다.

제주시가 밝힌 공사 계획은 다음 달 용역 발주, 7월 1차 추경에서 예산 확보, 8~9월경 공사 시작 등이다. 계획대로라면 전기 사용이 급증하는 여름철에도 현재 설비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화재 위험도 그만큼 높아진다는 뜻이다.

더욱이 지난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 원인이 안전관리 소홀 등에 따른 인재였다는 증거가 속속 발견되는 가운데 제주시의 이 같은 ‘늑장행정’이 하루 수천명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