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매일 진기철 기자] 교육부가 전국 모든 학교의 올 1학기 수학여행을 전면 중지한 데 이어 각종 현장체험 학습 취소 시 발생하는 위약금 전액을 지원하기로 한 가운데 관련 업계의 자발적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22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21일 현장체험학습 안전대책 관련 전국 시·도교육청 담당국장 회의를 진행하고, 올해 1학기 수학여행을 전면 중지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학생, 학부모 등의 불안을 감안해 1학기에 예정된 수학여행을 그대로 진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다.
특히 일선 학교에서 수학여행 등을 취소하면서 생기는 막대한 위약금을 물지 않도록 전액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해 항공사, 숙박업, 여행사 등에 학교 측과 원만한 합의를 보도록 유도하고 위약금을 물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교육부의 이 같은 방침에 국적항공사들은 사고 직후 수학여행 취소와 관련해 위약금을 물리지 않겠다는 내부규정을 세웠다.
수학여행단 이용이 많은 대한항공인 경우 사고 직 후 이어지고 있는 취소 건에 대해 위약금을 물리지 않도록 했고, 제주항공 역시 지난 17일 이 같은 방침을 세운 상태다.
또 제주도전세버스업계도 지난 21일 긴급회의를 갖고, 업체별로 취소 수수료를 안받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한국관광협회중앙회도 학교 측에서 수학여행을 취소할 경우 수수료를 면제하거나 인하해 주도록 전국 여행사와 음식점 등 회원사에 촉구했다.
중앙회는 또 업종별/지역관광협회, 국내항공사, 전국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대한숙박업중앙회, 제주도, 한국해운조합 등 관련기관에 공문을 보내 ‘수학여행 취소 수수료 면제 또는 인하’ 등의 대책을 세워 줄 것을 요구했다.
중앙회 관계자는 “관광업계의 큰 어려움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세월호 사고로 인해 아픔을 겪고 있는 유가족들과 전 국민의 슬픔을 함께 나누자는 취지에서 이번 조치를 취하게 됐다”고 설명, 업계의 추가적인 동참이 이뤄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