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NLL서 해상사격훈련…우리수역 낙하 北포탄 백령도 동북쪽 집중
軍, 경계·감시태세 강화…유엔사, 北에 장성급 회담 제안
軍, 경계·감시태세 강화…유엔사, 北에 장성급 회담 제안

북한은 이날 총 500여발의 해안포와 방사포를 NLL 인접 해상으로 발사했고, 이 가운데 100여발이 NLL 이남 우리 해역에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북한의 사격훈련이 끝난 직후 가진 긴급 브리핑에서 "북한군의 해상 사격훈련은 오늘 낮 12시15분부터 오후 3시30분께까지 7개 해역에서 8차에 걸쳐 진행됐다"며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북한군 포탄은 NLL 이남으로 최대 3㎞ 정도 넘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 지난 2011년 백령도에서 실시된 서북도서 방어훈련에서 K-9 자주포가 기동하는 모습. (연합뉴스 DB)
김 대변인은 "서북도서 지역의 경계태세를 상향 조정하고, 위기관리 체계를 즉각 가동시켰다"며 "현재 우리 군은 한미 공조 하에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 지역에 경계 및 감시태세를 강화했다"며 "무기태세도 증강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우리 군은 북한의 이번 해상사격이 계획된 도발이며, 남북관계에 주도권을 갖고 NLL에 대한 우리 군의 수호의지를 시험하려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우리의 정당한 대응사격을 빌미로 해서 우리 도서와 해역에 도발한다면 우리 군은 단호하게 응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바다 건너로 북한 월내도와 장산반도가 보이는 백령도의 한 초소. (연합뉴스 DB)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1차 사격은 오늘 오전 우리 군에 통보한 7개 구역에서 동시에 진행됐지만 2차 사격부터는 백령도 동북쪽 해상(2구역)에서만 실시됐다"며 "NLL 이남에 떨어진 북한군 포탄은 모두 2구역으로 발사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백령도 동북쪽 해상이 민감한 지역이고 다른 사격구역은 섬과 거리가 멀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군은 100㎜ 해안포와 122㎜ 및 240㎜ 방사포 등으로 사격했고 특히 122㎜ 방사포는 화력지원정에 싣고 해상에서 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는 이날 오후 2시50분께 북측에 전화통지문을 보내 "북한은 서해 사격을 즉각 중단하라"며 "대한민국에 대한 모든 호전적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군정위는 또 "북한의 행위는 역효과를 초래하고 긴장을 고조시킬 뿐"이라며 "유엔사-북한군 장성급 회담을 위해 본 통지문 수령 이후 2시간 이내에 유엔사가 북한군을 만날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