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 첫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한지 불과 4년 만에 수정 보완을 거쳐 다시 ‘최종계획’을 마련해야 할 정도로 지구 온난화 등 기후 환경이 크게 급변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제주도의 경우 기후 변화로 인한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가 ‘해수면 상승’임에도 불구하고 이번 ‘최종계획’에서 이에 대한 대응책이 소홀히 다루어진 느낌이다. 재검토가 있어야 할 것 같다.
이번 수정 보완된 ‘기후변화 대응 종합 최종계획’은 4개 추진 전략과 14개 세부 추진전략, 61개 세부사업으로 나누어 추진하는 것으로 돼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을 보면 ‘아시아 기후변화 교육센터 운영’ 등 기후변화 대응 선진 문화 조성, ‘사유 곶자왈 매수 보전’ 등 저탄소 녹색 도시 실현, ‘가뭄대비 식수전용 저수지 확충’ 등 사전 예방 등이다.
이 밖에도 가뭄, 호우, 태풍 등으로 인한 피해와 식생, 지하수, 환경, 산업의 변화에도 대응하고 있다. 총 투자액도 국비와 지방비 등 1조9593억2000만원에 이른다.
하지만 향후 해수면 상승에 따른 대응책들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사실 제주도는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가뭄, 호우피해, 지하수 및 식생 변화, 질병 등에 못지않게 해수면 상승도 재앙을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당연히 제주도 기후변화 대응계획에도 해수면 상승 대비책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어야 했다.
몰티브 같은 섬나라는 국토 전체가 바닷물에 잠길 위기에 처해 있어 국민이 이주할 국토를 물색하고 있다지 않은가. 해수면 상승에 관한한 아시아에서는 한반도가 상위권이요, 또한 제주도는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편이라고 한다.
실제로도 산방산 앞 용머리 해안 산책로는 바닷물에 잠긴지 오래다. 제주시 탑동의 전과 다른 해일, 도내 해수욕장들의 모래 유실들도 해수면 상승이 가져다주는 현상이란 설도 있다. 기후변화 대응책과 더불어 제주도의 해수면 상승 대책은 결코 소홀히 할 사안이 아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