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예비후보는 "'섬안의 섬' 우도주민들의 정책요구는 제주도가 중앙정부로부터 소외당하는 것과 유사성을 보인다"며 "경제타당성, 인구수 등의 이유로 소외되는 경우가 다반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예비후보는 "이런 수치적 논리에 의해 우도주민들의 희망사항이 소외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주도정의 이중젓 잣대를 경계하는 감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 예비후보는 "'섬안의 섬' 우도주민들의 정책요구는 제주도가 중앙정부로부터 소외당하는 것과 유사성을 보인다"며 "경제타당성, 인구수 등의 이유로 소외되는 경우가 다반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예비후보는 "이런 수치적 논리에 의해 우도주민들의 희망사항이 소외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주도정의 이중젓 잣대를 경계하는 감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