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대학 ‘내홍(內訌)’이 끝내 감사원으로 넘어가고 말았다. 한라대학 노조가 10일 학원 재단 측과 대학 당국이 각종 비위를 저질러 왔다며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같은 내용을 교육부와 ‘청와대 신문고’에도 진정했다.
노조의 감사원 감사청구 내용은 대충 여섯 가지로 요약되고 있다. 입시부정, 해외대학과의 복수학위 과정 및 관련 장학금 불법 운영, 교육역량 강화 사업 국고 부당 사용, 이사장 가족 구성원의 특혜, 한라 아트홀 불법 운영. 학교시설 부지매입과정에서의 배임 의혹 등이 그것이다.
또한 이와 별도로 한라대학 노조는 대학 측을 노조설립 방해 등 부당노동행위로 이번 주 중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다.
제주한라대학은 전국적으로도 최상위권 우수대학으로 평가 받고 있다. 열악한 지역세를 극복하고 대학이 이만큼 성장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한라대학이 이렇듯 잘 나가는 대학이 되기까지는 재단-대학-교수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한라대학이 어쩌다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지 대학을 아끼고 있는 많은 도민들이 애석해 하고 있다.
한라대학의 내홍은 지난해 노조 출범 이후 끊이지 않았다. 단체교섭 과정에서 대학 측과 노조, 노조와 재단 간에 갈등이 빚어지면서 불신의 골은 더욱 깊어만 갔다. 재단과 대학 측은 노조가 요구하는 단체협약 내용에 불만이었고, 노조 측 역시 재단과 대학 측이 단체교섭에 불성실하게 임하고 있다며 불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단-대학-노조 모두 분쟁에 대한 자체 조정 내지 자체 해결 능력을 상실한 채 마주 달려오는 열차처럼 극한 상황으로 치닫다가 결국은 공익감사청구, 청와대-교육부 진정, 검찰 고발 예정이라는 충돌 직전까지 다다르고 말았다.
이제 한라대학 내홍은 시위를 떠난 화살 격이 되고 말았다. 감사원 공익 감사 결과와, 청와대-교육부의 행정적 판단, 그리고 검찰에 고발했을 경우의 수사 결과에 따라 내홍을 해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감사원, 교육부, 고발했을 경우의 검찰 등은 철저히 진상을 조사해 노조, 대학, 재단 등 누가 옳고 그른지를 확실히 가려내야 한다. 대학을 조속히 정상화시키는 길은 이 방법 밖에 없다. 재단, 대학, 노조 모두 자체 해결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