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기 군사적 요충지 ‘별방진’, 보존 방안 마련
조선중기 군사적 요충지 ‘별방진’, 보존 방안 마련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4.03.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시, ‘별방진 보존·관리 용역’ 착수
▲ 탐라순력도 속 별방진. 제주시 제공.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 조선시대 제주 동부지역의 핵심 군사적 요충지인 별방진의 체계적인 보존을 위한 용역이 시작된다.

제주시는 11일 제주 관방시설의 핵심요소인 3성, 9진 중 하나인 구좌읍 하도리 별방진(도지정 기념물 제24호)의 체계적인 보존․정비방안 마련을 위한 ‘별방진 보존․관리 및 활용계획 수립’ 용역이 지난 5일 착수, 오는 8월까지 추진된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제주 동부 방어의 요충지인 별방진의 문헌조사와 현지조사 등을 통해 본 시설의 원형 및 변천과정을 검토, 조선중기 왜구와의 격전지로서 ‘별방(別防)’이란 이름의 명성을 회복하기위해 추진된다. 이를 위해 △별방진의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조사 △현존 성곽 실태 및 내부 여건 분석 △문화재보호구역 및 지정범위 검토 △단계별 성곽 및 성곽시설물 보수․복원 계획 수립 △주변 문화유산과 연계한 문화․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보존․정비  방향을 설정하게 된다.
▲ 별방진 전경. 제주시 제공.

둘레 2390자, 높이 7자의 규모로 축성된 별방진은 1510년(중종 5) 장림 목사가 우도에 출몰하는 왜선을 경계하기 위해 김녕방호소를 별방으로 옮겨 축성됐다.

별방진에는 타첩(성벽위 방어 및 공격 시설 ) 139개, 격대(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을 공격하는 시설) 7개, 동서남의 3문과 성내에는 객사, 사령방, 창고, 군기고 등과 함께 18세기 중엽에는 2개의 샘물이 있었다고 한다. 제주시는1994부터 2006년까지 성곽 550m 및 치성 1개소를 보수․복원했으며, 2010년 성내의 샘물을 복원·관리해 오고 있다.

제주시청 김윤자 문화예술과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별방진’의 체계적인 복원․정비 및 역사문화 관광자원화 방안 마련 등 중·장기적 마스터플랜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조선시대 제주도 특유의 관방시설의 역사적 숨결과 조우하는 별방진의 옛 위용을 구현해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