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내달 입지선정위서 최종 후보지 결정"

제주시는 최근 신규 매립장 유치를 희망하는 지역에 세대별 태양광발전 설비와 태양광발전시설, 힐링케어타운 조성, 마을 배수개선, 지역 학교 살리기 등에 565억3000만원의 주민지원 계획(안)을 제시했다.
여기에 우근민 도지사가 제주시를 대신해 사태진화에 나섰지만 오히려 더욱 거센 주민반발만 불러오고 있다.
앞서 지난 10일 우근민 도지사는 봉개동주민과의 간담회에서 “아직 봉개동이 결정된 단계는 아니다. 이달 중 전략환경영향평가서가 나오면 그때 결정할 문제”라며 “이후 해당 마을에 수백억 규모의 사업(인센티브)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명확한 답변 없이 던진 이 발언이 주민들의 분노에 기름만 부은 상황을 연출했다.
현장에 있던 주민들은 우근민 지사를 향해 “인센티브를 갖고 흥정하지 말고, 입지후보지에서 봉개동을 제외시켜라”면서 “봉개동을 제2의 강정마을로 만들려 하느냐. 주민과의 약속을 어기려는 우근민 지사는 물러나라”는 등 다소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되면서 간담회는 아수라장이 됐다.
대체 후보지 선정이 난항을 겪으면서 현 회천매립장을 연장·사용하려던 제주시의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제주시는 올해 사업비 60억원을 확보, 매립장 증설(3·4공구)과 압축포장기 도입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봉개동 주민들은 “대체 후보 없이 매립장 연장 사용은 있을 수 없다”며 “제주시가 주민 동이 없는 밀어붙이기식 행정을 계속 펼친다면 4공구 폐쇄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선 것.
당초 예정된 사용기한(2016년)만 믿고 이 문제를 방관해 온 제주시가 사태를 키웠다는 비난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에 대해 여찬현 제주시 청정환경국장은 “이 문제에 대해 현재까지 아무것도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 “이달 나오는 전략환경영향평가서 결과와 다음 달 예정된 입지선정위원회 회의에서 최종 후보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