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월읍 소재 선운정사 돌부처 보호 누각이 이번에는 불법공사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그렇잖아도 이 돌부처 보호누각 건립 공사에 제주도가 도민 혈세 5억 원을 특혜지원했다해서 감사위원회가 감사까지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선운정사 돌부처 보호누각을 둘러싼 쟁점은 크게 3가지다. 그 하나가 민간 사찰인 선운정사 돌부처 보호를 위한 누각 건립에 도민 세금 5억 원을 지원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이다.
두 번째는 문제의 돌부처가 과연 진짜 문화재인가 하는 점이요, 세 번째는 진짜 문화재라면 돌부처 보호누각 건립 공사를 문화재 등록업체가 시공해야 함에도 무자격 하청업체가 공사를 맡고 있다는 점이다.
선운정사 돌부처 보호누각을 둘러싼 갖가지 검은 장막들을 말끔히 걷어내려면 이 세 가지 문제점만 풀어내면 된다.
사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꾸준히 제기해온 것은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쪽이다. 엊그제 새롭게 튀어 나온 불법공사 의혹도 역시 경실련이 제기한 것이다.
경실련에 따르면 제주도의 주장처럼 선운정사 돌부처가 진짜 보호가치가 큰 문화재라면 보호누각 건립에 따른 설계-시공은 반드시 관련법에 따라 등록된 문화재 수리 내지 보수 자격증을 가진 업체라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돌부처 보호누각의 설계와 공사하청을 받은 업체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제주도 당국은 돌부처를 둘러싼 각종 의혹들에 대해 법적, 행정적으로 아무런 잘못이 없다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행정은 주먹구구식이 아니지 않은가.
그렇다면 제기된 의혹 3가지에 대해 자신 있게 아무런 잘못이 없다는 증거를 도민에게 제시해야 한다. 도민 혈세 5억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돌부처를 공개리에 재감정해 진짜 문화재임을 확인 시켜 줘야 하며, 다른 민간 사찰들도 많은데 특정 사찰 몇 군데만 예산을 보조해 주는 정당성을 입증해야 한다. 그리고 무자격자가 문화재 공사를 시공해도 발주처인 사찰의 문제 일뿐, 도민 세금을 내준 제주도는 감시 감독권도 없는지 책임 있게 답변해야 한다. 이 3가지 문제만 명쾌하게 풀면 장막이 활짝 걷힌다. 왜 질질 끌기만 하는지 모르겠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