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근민 제주도지사의 ‘현장방문’을 두고 많은 말이 나오고 있다. 야당인 민주당은 물론 공무원 노조와 오는 6월 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새누리당 예비후보들 사이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드러난 문제는 우근민 지사가 지방선거를 4개월 앞두고 읍.면 순시에 이어 이번에는 동 지역까지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는 명목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보면 도지사는 연초에 행정시를 방문한 뒤 그해 도정방침 등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수렴하는 형식으로 추진됐다.
읍.면 및 동지역 방문은 이후 자연스럽게 행정시장의 몫으로 남아왔다. 그런데 돌연 도지사가 공무원들을 대거 대동해 동 지역까지 찾아가 ‘민생탐방’이라는 그럴싸한 명분을 내세워 직접 해당 지역 자생단체장과 주민들과 마주앉아 지역 현안을 청취하고 현장에서 민원에 대한 문제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우 지사의 이 같은 현장 탐방이 분명 불법적인 행위는 아니라고 보인다. 그러나 이 같은 행위는 다른 편에서 보면 분명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왜 그동안 안 하던 행태가 불과 선거를 코앞에 두고서 진행되는지 그게 가장 큰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오죽했으면 우 지사와 같은 정당인 새누리당 제주도지사 출마후보들까지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자청해 ‘관권 선거의혹 당장 중단’을 요구하기까지 했다.
이 점에서 우리는 선관위의 책임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이인복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서 “민주주의 산실로서 선거관리위원회는 국민의 뜻이 선거를 통해서 있는 그대로 담겨질 수 있도록 엄정중립, 공정관리의 자세를 견지하고 있으며 국민과 함께하는 선거, 국민이 참여하는 선거, 축제의 선거가 되도록 부단히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선관위의 역할을 강조했다.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하게 대처하는 것은 두말 할 나위 없이 선관위의 당연한 임무다. 문제는 과연 현재의 이 같은 일련의 행태가 이인복 위원장이 강조했던 것처럼 ‘공정한 관리의 자세’에서 볼 때 그대로 넘겨도 되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꼭 이인복 위원장의 말에서 비유하지 않더라도 선거에서 선관위의 역할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불법행위가 아니라는 점만으로 엄연히 일고 있는 불공정 시비에 눈을 감는 것은 선관위의 바른 역할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