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해 연속 공무원 청렴도 전국 꼴찌와 하위권을 기록해 도민들에게 큰 실망을 안긴 제주도가 올해에도 상위권 진입에 빨간 불이 켜지고 있다. 공무원 비리 사건이 계속 터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귀포시 향토산업 육성사업인 3Eco 헬스팜 명품 · 명소화사업과 관련해서도 그렇다. 국고보조금 12억원을 편취한 업체대표 등 사업자 8명과 함께 3억원 상당의 뇌물을 받기로 약속했거나 불법행위를 묵인, 혹은 보조금을 교부해 준 3명의 공무원이 경찰에 적발 되었다.
제주도 해양수산분야 보조금 관리도 엉망이어서 공직사회의 청렴과는 거리가 멀다. 제주도감사위원회가 해양수산분야 보조금에 대한 ‘특정감사’를 벌인 결과 21건이나 되는 부당사례들이 적발 된 것이다.
이러한 부당 사례들로 인해 보험료 등 제경비 3건 425만9000원과 부가가치세 환급금 1건 321만7000원이 과다 지급 됐다가 회수 조치됐다. 특히 제주도는 2011년 보조금을 지원할 수 없는 업체에 3500만원을 지원한 경우도 있었다.
감사위는 이에 대해 관련공무원 15명에게 상응한 신분상 조치를 요구 한 것으로 마무리 했지만 공직사회의 청렴도에 먹칠을 한 셈이다.
그렇잖아도 공금 854만4000원을 횡령한 직원을 뒤에서 봐준 상급자들이 올 연초에 적발돼 충격을 주었었는데 두 달도 지나지 않아 연속 공무원 비리가 이어지고 있으니 제주도 청렴도 상위권 진입은 올해도 희망사항으로 끝날 것인가. 특히 올해 6월까지는 지방선거와 선거후의 제주도정 교체기여서 공직사회의 기강 문란이 더욱 우려되는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