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5억 특혜지원 시비에 휘말린 애월읍 소재 선운정사 돌부처 시비는 자타(自他)가 수긍할 수 있는 재검증 한번이면 끝나버릴 아주 간단한 문제이다. 그럼에도 제주도는 왜 돌부처 재검증을 기피하면서 의혹만 더 키워 일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는가.
당초 제주경실련이 선운정사 돌부처 보호누각 5억 특혜지원 의혹을 제기 한 것은 두 가지 의문점 때문이었다. 그 중 하나가 선운정사 돌부처 지방문화재 자료 지정이 석연치 않다는 것이다. 문화재 현장 실사 때 심사위원 3명 중 1명이 반대했음에도 모두 찬성한 것으로 돼 지방문화재로 지정됐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문제의 돌부처 유통 과정이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1980년대 중반까지 충남 계룡산 기슭 신도안면의 어느 무속인 집 마당에 있던 이 돌부처가 민간인~골동품상~경찰 압수~사찰 등 곳곳을 떠돈 끝에 2008년 선운사로 흘러들어 온 과정이 명확치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돌부처의 보호누각을 세우기 위해 제주도가 혈세 5억 원을 지원했으니 말썽이 일어 날만도 하다. 그래서 경살련은 돌부처 재검증을 계속 요구했고, 제주도는 불응하고 있다.
참다못해 경실련은 우리나라 미술사학(美術史學) 전문가 10명에게 전자우편으로 의견을 물은 결과 2명은 “문화재 자료로써 가치가 없다” 했고, 나머지는 “논란에 휩싸이고 싶지 않다”거나 우편 수신 자체를 확인해 주지 않았다고 한다. 특히 10명 중 문화재 지정이 타당하다는 의견은 한 명도 없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그저 참고 사항일 뿐이다.
선운정사 돌부처가 제주도의 공식적이요 공개적인 재검증이 없는 한 시비는 끝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제주도는 하루빨리 재검증을 실시, 만약 문화재 가치가 없다면 5억 원을 회수 하면 그만이다. 이렇듯 간단한 문제를 놓고 어찌하여 골치만 썩히는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