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악산 파괴 절대 용납해선 안된다
송악산 파괴 절대 용납해선 안된다
  • 제주매일
  • 승인 2014.0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자본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송악산 뉴오션타운 조성사업을 둘러싼 환경파괴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도내 환경단체에 이어 야권을 중심으로 하는 일부 정치권이 개발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더니 이번에는 제주올레까지 나서 이 사업의 부당성을 지적했다.
제주올레는 “2008년 제주올레 10코스를 개설할 때 송악산 정상으로 길을 이었으나 올레꾼의 증가로 훼손이 우려돼 2010년 코스를 해안 쪽으로 우회했다”며 “사람이 걸어 다닐 때 나타나는 밟기에 의한 훼손조차 걱정할 만큼 송악산 일대는 경관적 역사적 지질학적 보존가치가 매우 큰 곳”이라고 강조했다.
송악산 뉴오션타운 조성사업의 문제는 송악산이라는 오름 경사면의 흙을 깎아 대규모 호텔과 콘도미니엄을 건립한 점이다. 송악산 뉴오션타운 조성사업에 제주도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고 또 그 입장에 설 것임은 두말한 나위가 없어 보인다. 이는 같은 중국자본에 의해 졸속환경영향평가가 진해되고 있는 제주시 무수천 유원지 개발 사업에서도 엿볼 수 있다.
대규모 개발사업자는 본능에 따라 주변 경관이 뛰어난 곳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이는 과거의 대규모 관광개발들이 증명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성산읍 신양리 섭지코지 개발 사업이다. 제주에서 일출봉을 가장 근접한 곳에서 조망할 수 있고 주변에 신양해수욕장 등을 둔 섭지코지 일대에 대규모 개발 사업이 진행된 뒤에는 섭지코지 자체가 아예 해당 대기업의 손아귀에 들어가 버렸다. 섭지코지는 더는 도민 모두가 관람하고 즐길 수 있는 공공의 자산이 아닌 특정재벌의 돈벌이 공간이 돼 버렸다.
제주도는 눈앞에 급급한 투자유치 실적 올리기에만 나설 것이 아니라, 과연 그 사업이 제주의 미래를 위해 더 나아가 제주사회의 공동체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말 그대로 눈앞의 이익보다는 보전이 가져다줄 막대한 미래가치를 들여다봐야 한다. 국토 최남단 마라도를 바로 코앞에 두고 있는데다 아직 제주에서는 해안 스카이라인을 비교적 완벽하게 간직하고 있는 송악산 일대는 어떤 명분으로도 훼손해선 안 된다. 분명한 점은 송악산 중턱에서의 대규모 개발은 곧 그 자체가 송악산 파괴로 직결될 수밖에 없음을 제주도는 명심해야 하며 결국 그 책임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