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철 도입 등 1000억 이상 필요…실현 가능 관건
경전철 도입 등 1000억 이상 필요…실현 가능 관건
  • 고권봉 기자
  • 승인 2014.01.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매일 고권봉 기자] 제주발전연구원이 시행한 용역에서 제주시 시민복지타운 내 공공청사(시청) 부지 활용 방안은 애초 8가지 대안에서 3가지로 압축됐다.
주요 내용은 시민복지타운 부지 4만4707㎡ 중에서 디자인센터 부지(1만㎡)를 제외한 면적(3만4707㎡)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제주도는 이곳에 관광환승센터를 만들어 무인궤도열차(PRT)나 경전철을 도입하는 방안과 쇼핑아울렛 설치, IBE(IT, BT, ET) 글로벌 비즈니스센터 건립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사업에는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이 들어갈 것으로 보여 실현 가능할지가 관건이다.

▲제주시청사 이전계획부터 철회까지
제주시는 2001년 3월 장기도시계획인 ‘2021 제주도시기본계획’을 세우고 준공된 지 50년이 넘은 제주시청사의 이전계획을 발표했다.
이 기본계획에는 기존 청사의 부지확장과 재건축은 교통체증 유발과 공사를 할 때 대체 청사 확보 문제 등을 이유로 시청사 이전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에 따라 제주시는 2002년 10월 제주시 도남동 일대 약 43만㎡(13만평) 규모의 시민복지타운 개발사업에 대한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시작으로 총 사업비 1283억원을 투자했다.
2007년 2월 시민복지타운은 지방정부합동청사와 제주시청, 혈액원, 농업기술센터 등이 들어설 시설용지와 주거, 공공시설 용지 등으로 도시개발사업공사가 완료됐고 토지도 분양했다.
하지만 2006년 7월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행정시가 된 제주시는 예산권이 없어지며  시청사 이전을 위한 사업비 1300여 억원 확보와 구도심권 공동화 현상 등의 문제에 따른 시청사 이전 논란을 양산했다.
이런 가운데 제주시가 중앙공원과 농업기술센터 예정지로 매입했던 부지가 애초 목적이 아닌 시민복지타운 개발로 사용됐다며 기존의 토지주들이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토지주들은 환매 소송 및 손해배상청구소송을 통해 2007년 6월 대법원에서 승소했고, 손해배상금 70여억원을 받았다.
이처럼 제주시는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 지 10년이 지나도록 시청사 이전에 필요한 재원 마련이나 사업 착공 등은 하지 못했고, 2011년 6월 시청사 이전 백지화를 우려하는 시민복지타운 토지주 150명은 제주시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제주시는 시청사 이전 여부에 대한 시민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를 2011년 9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제주시는 2011년 12월 20일 10년 9개월 만에 제주시청사 이전 불가방침을 발표했다.

▲예산 없는 제주시, 관련 업무 제주도로 떠넘겨
제주시는 청사 신축비 1300여 억원의 조달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구도심권 공동화 현상 심화 등의 이유로 청사 이전 불가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제주시는 토지주 등의 반발 등을 감안해 시청 이전과 버금가는 대규모 시설을 유치하기 위해 2012년 2월 ‘제주시민복지타운 도시관리계획변경지원 T/F팀’을 구성했다.
이후 운영회의를 3차례 진행했으며 2012년 2월 20일부터 4월 19일까지 시민복지타운 내 시청사부지 4만4707㎡에 대한 투자유치도 공모했다.
또 2012년 8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시민복지타운 시청사부지 발전방향 모색 T/F팀 회의를 3차례 시행했다.
2012년 11월 활용방안 아이디어 공모도 진행해 32건을 접수했다.
하지만 투자 유치 등은 무산됐고 시민복지타운 내 시청사 부지 활용 방안 업무는 2013년 1월 17일 제주도 도시디자인단으로 이관됐다.

▲제주도, 활용 방안 마련 용역 진행
제주도는 지난해 8월 제주시 시민복지타운 내 공공청사(시청) 예정부지 활용에 관한 연구 용역을 제주발전연구원(이하 제발연)에 의뢰했고, 지난 7일 최종보고회를 진행했다.
제주도는 이를 통해 지난 22일 제주시청사 부지 활용 방안을 3가지 안으로 압축해서 연구용역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시민복지타운 부지 4만4707㎡ 중에서 디자인센터 부지(1만㎡)를 제외한 면적(3만4707㎡)에 대한 활용하는 방안이다.
첫 번째 대안은 제주공항에서 시민복지타운 시청사 부지까지 무인궤도열차(PRT) 또는 경전철을 운행해 관광환승센터로 사용하는 방안이다.
관광환승센터에는 도내 렌터카를 모두 수용하는 대형 주차시설을 조성하고 전기 자동차 충전시설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두 번째 대안은 쇼핑아울렛 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세 번째 대안은 글로벌 비즈니스센터를 구축해 회의와 숙박, 관광객을 위한 부대 시설 등을 조성하는 것이다.
제주도는 이번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T/F팀을 적극 활용하면서 시민복지타운 내 토지주 등 시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 적정한 활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문제점
제주도가 제주시청사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현실성이 떨어지는 대안으로 제시해 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재원 조달 방안, 기존 상권과의 마찰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는 관광환승센터 건립에만 7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전철 공사 비용도 700~800억원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또 쇼핑아울렛 시설도 총 사업비가 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고 글로벌 비즈니스센터의 경우에도 컨벤션과 회의, 숙박 시설 등을 갖추는데 1000억원이 투자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제주도는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이나 재원 확보 계획도 마련하지 않아 사업 성공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일정
제주도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T/F팀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시민복지타운 내 토지주 등 시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적정한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제주도는 3가지 안을 홍보하고 투자자를 유치해 사업 방향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최종 결정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충분한 의견 수렴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