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비상이 걸렸다. 지난 17일 전북 고창 씨오리 농장에 이어 엊그제 인근 부안의 오리농장 2곳에서도 AI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고병원성 AI 발생지역인 전북과 인접한 전남도에는 사상 처음으로 가금류와 축산관계자, 축산 차량 등에 대해 ‘이동 중지명령’이 내려졌으며 22개 시-군 주요 장소에는 64개소의 이동 통제 초소와 58개소의 축산 차량 전용소독처가 운영되고 있다.
전북과 인접한 충남지역에서도 사정은 비슷하다. 통제소와 거점 소독 장소를 늘리는가 하면 철새 도래지들에 대한 고병원성 조류독감 예찰 및 방역 활동을 강화 하고 있다.
인접지역뿐이 아니다. 전북과 거리가 떨어진 제주-강원-경기-경북-경남 등에서도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방역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전국이 초비상 상태에 돌입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지난 19일의 긴급 방역회의에서 2010년과 2011년, 사상 첫 구제역과 고병원성 AI 발생 때에도 청정지역으로 지켜낸 경험이 있음을 상기 시키면서 이번에도 도내 가금류를 철저히 보호키로 하고 그 대책들을 마련했다.
따라서 제주도는 우선 다른 지방의 모든 가금류와 가금육, 거기에 따른 부산물의 반입을 일체 금지시켰다. 그리고 일반인의 농장 출입 통제 및 소독을 강화 하고, 도청을 비롯한 기관-단체별로 ‘특별 방역 대책상황실’을 설치,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해-공항에 대한 반입물 단속과 소독도 강화하고 있다.
문제는 고병원성 AI 방역 대책에 대한 당국의 실천 의지와 도민들의 적극적인 협조 의지다.당국의 실천 의지와 도민들의 협조 의지가 융합할 때만이 청정 제주를 지키는 일이 가능하다. 또 하나 잊어서는 안 될 일은 제주도내 철새 도래지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이다. 철새들의 AI 감염 조기 발견, 도래지에 대한 방역이 간단치가 않기 때문이다.
고병원성 AI 예방도 발생 초기부터 완벽하게 차단해야 한다. 도 당국은 그것을 소나무 재선충에서 배워야 한다. 2012년 소나무 고사목이 얼마 안 남았을 때 뿌리를 뽑았어야 하는데 당국의 실책으로 엄청난 사태가 현재까지 벌어지고 있다. 고병원성 AI도 마찬가지다. 초기에 막지 못한다면 닭-오리-메추리 등 도내 161만2000여 마리의 가금류에 엄청난 피해를 주게 될 것이다. AI사태가 제2의 재선충 사태가 되는 일을 한사코 막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