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대 신입생 충원율 100%’는 허구”
“‘제주한라대 신입생 충원율 100%’는 허구”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4.0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한라대 노조, 20일 감사청구 기자회견
▲ 제주한라대학교 노조 등 관계자들이 20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한라대학교 및 학교법인 한라학원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 계획을 밝혔다. 사진제공 제주도의회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 제주한라대학교가 이번에는 입시 부정운영 의혹에 휩싸였다. 또, 학생 등록금으로 건축한 도두동 해양레저스포츠학습관을 제주도로 증여한 과정과, 대학 주변 토지매매와 관련한 각종 위법 의혹도 더불어 제기됐다.

전국대학노조 제주한라대학교지부(지부장 이준호)는 20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간 불거진 학교 운영관련 의혹에 대해 학교법인 한라학원(이사장 김병찬)과 제주한라대학교(총장 김성훈)를 상대로 공익감사를 청구한다고 밝혔다.

청구 내용은 앞서 본 지가 보도(2013년 12월23일자)한 애월읍 소길리 이전용 부지와 천아오름 일대 마사학부 실습장 토지 매입 건을 포함해 이번에 새롭게 제기된 입시 부정운영 의혹 등 총 20건에 이른다.

노조는 입학제도 의혹과 관련, “제주한라대가 매년 신입생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모집 방안에 일종의 눈속임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제주한라대가 신입생 정원 충원율 100%를 기록하며 전국 사립대학의 부러움을 사고 있는 상황에서 처음 제기된 주장이라 사실로 밝혀질 경우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노조는 “입시 부정운영은 경쟁률이 가장 치열한 간호학과 등 일부 학과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과에서 이뤄져 왔다”고 말했다. 노조는 “이를 증명할 자료가 충분히 마련됐고 감사원에 제출할 예정이지만, (이달 중)감사청구 서류를 접수할 때 공표하겠다”며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노조는 또, “학생 등록금 6억여 원을 투입해 2010년 준공한 도두동 해양레저스포츠학습관이 제주도로 증여됐다”며 “관할청의 인가 여부와 증여 이유를 밝혀줄 것을 요청서에 기재했다”고 말했다.

노조는 “레저학습관에 들어간 공사비 6억여 원이 건축비가 아닌 경비로 회계 처리된 데다 등록금이 투입된 교육시설을 도에 증여하는 것은 통상적이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외 노조의 주요 감사청구 내용은 ▲교육용 기본재산인 ‘애월읍 소길리 토지’의 수익용 기본재산 전환 의혹과 근저당·지상권 설정에 따른 자금 부당운용 의혹 ▲매도자에게 60여 억원의 이득을 취하게 한 천아오름 일대 마사학부 실습장 토지 매입과 관련한 감정평가 업체 선정 의혹, 이사회 개최 등 절차의 타당성 의혹, 총장이 개인 지분 1%를 취득한 이유 ▲대학주변 토지 매매와 관련한 각종 위법 의혹 등이다.

노조는 특히 천아오름 매입 건의 경우 “도내 농업회사 법인이 공매에서 15억여 원에 구입한 땅을 제주한라대가 75억여 원에 매입, 결국 매도자가 1억5000만원의 공탁금만 움직여 60억여 원의 이익을 보게 했다”며 “이 거래가 불과 한 달여 사이에 이뤄진 점도 의문스럽다”고 덧붙였다.

이준호 지부장은 “노사가 갈등상황에 있는 것은 맞지만 이번 감사청구는 그보다 더 멀리 제주한라대학교의 미래를 생각하고 내린 결정”이라며 “대학 법인의 공공성 실종 문제를 제주도민들과 함께 풀어나가고 싶다”고 밝혔다.

한편 노조는 만 19세 이상 국민 300명의 서명을 받아야 공익감사 청구가 가능함에 따라 오는 22일부터 제주한라대와 제주시청 광장에서 서명운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어 이달 중 감사원에 감사청구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