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교육감에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발 지시
교과서 사태에도 강연시간 절반이상 할애 해명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 서남수 교육부 장관(사진)이 전국 시·도 교육감들에게 “자유학기제 진로탐색을 위한 지역 기관과의 합작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앞선 교과서 역사왜곡 사태에 대해서는 “편향된 교과서 내용도, 처리과정도 모두 정치적이었다”며 “임기동안 편수조직 설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서 장관은 13일 오후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에서 열린 전국교육장협의회 동계연찬회에 참석해 전국 177개 지역 교육장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등 박근혜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해 특별 강연했다.
이 자리에서 서 장관은 “자유학기제는 박근혜 정부의 가장 핵심적인 교육정책으로 시범운영에서도 잘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학생들의 진로탐색을 돕기 위한 직업·직장 체험, 관련 종사자들의 강연 등 진로 프로그램이 매우 열악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서 장관은 “하지만 일선 학교에서의 노력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며 “시·도교육감이 앞장서 관련 기관과의 협력 체결 및 커리큘럼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 장관은 또 “자유학기제가 지금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고교 문턱을 넘는 예비 대학생들에게도 꿈과 진로에 대해 생각하는 값진 시간이 될 수 있다”며 향후 고등학교확대 적용 전망을 내놓았다.
이와 함께 서남수 장관은 교과서 왜곡 논란에 대해서도 강연 시간의 절반 이상을 할애해 설명을 이어갔다.
서 장관은 “일련의 교과서 사태를 겪으면서 교과서 내용이 이렇게 (보수쪽으로)편향적일 수 있는 지에 한번 놀라고 학교에 압력을 넣는 (진보단체들의)모습에 또 한번 놀랐다”며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크게 훼손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서 장관은, 한국사 교과서 사태의 원인을 교육부 내 검정 시스템의 부재와 인력 부실에서 찾고 “재임기간 편수조직 설치·강화를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