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가 올해 상습 침수 및 재해 위험지구 정비를 위해 215억 원을 투입한다고 한다. 한경면 고산리와 조수리, 외도동 월대 일원, 애월읍 고내-납읍, 조천읍 대흘2리 등의 소하천 주변 및 주택 밀집지-농경지가 사업 대상지들이다.
이들 사업 대상지들은 거의 해마다 침수 피해를 입히거나 항시 재해 위험으로 불안에 떨게 하는 곳들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제주시가 올해 215억 원을 들여 정비 사업을 벌인다니 대상지 주민들은 크게 환영할 것이다.
문제는 재해 위험지구 정비 사업을 늦지 않고 제때에 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예산 사정 등으로 사업을 늦추거나 공사 도중 호우-태풍 등을 만나기라도 한다면 피해는 이중 삼중으로 커진다.
이는 상상이 아니라 과거에도 흔히 있었던 일이다. 공기(工期)를 잘못 잡아 장마기에 재해지구 정비를 하다가 호우를 만나 기성 공사분까지 모조리 쓸어가는 바람에 주민피해는 말할 것도 없고, 공공의 예산과 행정력까지 이중 삼중으로 피해를 본 것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이뿐이 아니다. 사업 시기를 너무 늦추는 바람에 태풍-호우 등으로 재난을 당하고 나서야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으로 늑장 정비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전철(前轍)을 밟았던 행정 당국이 올해도 이를 되풀이 한다면 그것은 위민행정(爲民行政)이 아니다. 재해 상습-위험 지구 정비는 계획수립 자체도 중요지만 재난 재해가 닥치기 전에 미리 사업을 완료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늦어도 장마 전에 사업을 모두 마무리 해야 한다. 서귀포시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