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개동, “대체 후보지 결정 없이 사용 연장은 안 된다” 반발

제주시는 9일 회천매립장이 조기만적이 예상됨에 따라 친환경적인 최첨단 폐기물 처리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쓰레기 대란에 대비해 예산 25억원을 투입해 매립시설(3.4공구)을 증설하고, 35억원을 투자해 소각장 노후에 따른 매립장 반입 생활쓰레기처리를 위한 압축포장시설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회천매립장이 가동된 것은 지난 1992년. 당시 제주시는 매립장 사용은 2016년까지로 약속했다. 하지만 관광객 증가와 가연성 폐기물 매립 등으로 현재 사용용량은 95%를 넘어선 상황. 하루 평균 200t 규모의 쓰레기 반입과 소각장 노후에 따른 소각쓰레기 매립 등으로 그 포화 시기는 오는 7월로 앞당겨진 상황이다.

이에 제주도는 지난해 11월부터 2개월 간 제주폐기물처리(매립·소각)시설 확충과 관련해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공람을 실시하고,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선정된 후보지 8곳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지만 주민반발로 무산되면서 파행을 겪고 있다.
결국 매립장 입지선정 문제가 해를 넘기면서 제주시는 ‘쓰레기 대란’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매립장 증설과 압축포장시설 도입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문제는 해당지역주민들이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 주민들은 ‘대체 후보지가 결정되기 전 까지 그 어떤 연장 계획(증설. 포장기)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임형종 전 봉개동대책위원장은 “쓰레기 문제에 대해 주민들도 공감하는 부분이라”며 “하지만 대안 없이 (매립장)포화시기 문제로 주민들을 압박, 증설을 강행하려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 전 위원장은 “이번 주 새 집행부가 구성되면 공식입장이 나오겠지만 그동안의 주민 의견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여찬현 제주시 청정환경국장은 “올해 쓰레기 대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신규매립장 확충 등의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새로운 (봉개)집행부가 구성되면, 매립장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대책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시 청정환경국은 이날 녹색환경, 생활환경, 공원녹지 등 환경 분야에 제주시 예산의 6.3%인 598억원을 투입, 쾌적한 청정도시 구현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