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3400명이 이용하는 제주시 중앙지하상가가 대형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시 중앙지하상가는 제주시민들뿐만 아니라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 특히 중국인 관광객들도 즐겨 찾는 곳 가운데 하나다. 제주의 쇼핑 1번지로 불리는 이곳은 384개의 상가가 활발한 영업활동을 벌이고 있다. 제주시 구도심 상당수 상가가 지역 인구 유출 등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그나마 중앙지하상가를 중심으로 상권이 살아 움직이면서 구도심을 견인하고 있다.
제주시 중앙지하상가는 1983년과 1987년, 이어 1990년에 각각 조성됐다. 조성된 지 20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상가 내 곳곳이 노후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음은 두말한 나위가 없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20여년전에 설치된 각종 전기관과 전깃줄이 상가 천장 내부에 거미줄처럼 설치돼 있다. 중앙지하상가에 대한 정밀안전진단결과 이 같은 시설 노후화 등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진단됐다. 그런데도 제주시는 예산 확보가 안 됐다는 이유로 즉각적인 보수작업도 차일피일하고 있다.
더더욱 큰 문제는 대형화재 등 상황이 발생할 경우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반드시 있어야 하는 시설물 설계도면 조차 없다는 점이다. 민간시공사가 시설한 뒤 관리권을 제주시로 넘기는 과정에서 분실되는 바람에 말 그대로 긴급 상황 발생 때 주먹구구식 대응은 불을 보듯 뻔하다.
막대한 물적 피해와 함께 인명피해까지 발생하는 대형 사고는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책이다. 불가피하게 사람의 힘으로 사고 발생을 막지 못한다면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 또한 최선책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대형 화재발생 우려가 정밀안전진단 결과에서 제시됐는데도 이에 대한 대비책을 미루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제주시는 이제라도 사업예산을 확보, 중앙지하상가 점포주와 이용객들이 아무 걱정 없이 생활할 수 있는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만에 하나 사고가 난 뒤 대책을 세운다면 이는 말 그대로 ‘사후 약방문 대책’이 될 수밖에 없으며 그 책임은 명백하게 제주시가 질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