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매일 진기철 기자] 제주관광의 질적 발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평가주체의 선정에 있어 신뢰성과 전문성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데다 민간 사업체와의 관계설정에도 문제가 발생, 제도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18일 ‘한국관광의 질적 발전을 위한 관광품질 관리 정책추진 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관광의 질적 발전을 위해 제주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제주에서 펼쳐지고 있는 사업에 대해 업계는 관광객에게 다양한 혜택이 돌아가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비용의 추가지출과 매출확대 장애 요인이 발생, 현실적용을 꺼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현재 제주도는 제주여행상품 모객사업, 국내여행 및 통역안내사 실명제 실시, 외국인 전용 계산대 설치, 숙박선금 취소수수료 환불 규정, 화장실 실명제 운영 및 유아관련 편의시설 확대설치 등의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실례로 제주우수관광사업체 사업의 경우 유사중복 인증 등급제 실시로 인해 소비자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도의 차별성과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평가주체의 선정에 있어 신뢰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용이하지 않고 민간 사업체와의 관계설정 때문에 평가를 꺼려하는 분위기도 연출되고 있다고 지적됐다.
따라서 제도의 실효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모두가 공감할 수 있도록 지표를 설정하고 피드백 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또 좋은 평가를 받은 업체에 대해서는 실효성 있는 인센티브를 지원, 관련 제도시행에 대한 동기부여 및 자긍심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품질관리제도 도입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실천의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는 운영과정에서 관련 사업체의 반발, 예상치 못한 비용의 추가지출, 여론의 호응 실패 등의 문제가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도의 성공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강력한 사후관리 방안과 더불어 페널티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외에 쇼핑수수료에 의존하는 저가 관광상품이 자리 잡을 수 없도록 관광유통제도를 개선하고 양질의 관광상품에 대한 모방상품이 난립하지 않도록 제도의 보완 필요성도 제시했다.